목표 지향점 타지방에서 거의 선점

국제자유도시 및 특별자치도 등 명분에 매달리는 사이 다른 지방은 이미 제주도가 특화 목표로 삼는 분야를 거의 선점해 버린 가운데 향후 제주도의 발전 방향 마저 흔들리고 있다.
제주도가 국제자유도시를 목표로 정한 것은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염두에 둔 것으로 도의 지정학적 위치와 자연 환경 등 이점을 살려 동북아의 물적. 인적 자원의 허브로 자리 매김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만의 특성을 살리는 동시에 효율적인 행정체제를 갖출 수 있는 자치 구조를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 기본 축이다.
국제자유도시를 추진하는 이유는 크게 보면 단 한가지다.
전국 경제 규모 1%에도 못 미치는 제주 경제를 키워 도민들의 삶을 보다 풍족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제주도는 특별자치도의 선결과제인 행정계층구조 개편을 최대 현안을 여기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이처럼 국제자유도시 및 특별자치도 추진을 준비하는 가운데 정작 다른 지방은 제주도의 '미래 전략'을 실현 단계로 현실화해 가는 형편이다.
인천 경제 특구가 첨단 IT산업 유치 및 외국 학교 분교 설립 등을 가시화한데 이어 최근 정부는 전남 해남. 영암 일대 3000만평을 복합레저도시로 조성키로 하고 오는 6월 사업자 선정 등에 나서기로 했다.

관광. 골프. 의료 등 한 해 13조원에 이르는 해외소비성 지출 규모의 일부를 이 지역에서 사용토록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5개 대기업, 일본의 7개 대기업, 중동기업 등이 이 지역을 포함한 서남해안 개발사업 참여를 서두르는 데다 정부도 이 달 중 건교부, 문광부, 재경부, 행자부 등이 참여하는 '관광레저도시기획단'을 발족할 움직임이다.

결국 외국인 투자자들은 서울에 가까운 인천 지역이나 정부가 전폭 지원하는 해남. 영암 일대에 눈을 돌리게 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별 다른 지원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앞날이 순탄치 만은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전남지역의 대형 관광레저도시는 그 동안 국내 최고의 관광지 및 골프 스포츠의 천국이라는 제주도와 경쟁관계를 이룰 것으로 분석돼 우려를 낳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