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 포커스>봉개매립장 내년 포화…대체매립장 2017년 돼야
광역수거 도입 '게걸음'-RFID '돈먹는 하마' 신세

지난 23일 찾은 제주시 봉개동 회천 매립장. 소나기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쓰레기 차량들이 쉴 새 없이 들락날락하고 있었다.

매립공구에서는 굴삭기와 불도저 등 중장비가 동원돼 매립작업에 한창이었다. 한쪽 리사이클센터에서는 재활용품을 실은 차량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지난 20여년간 제주시 생활폐기물을 처리해온 회천매립장이지만, 생활폐기물 급증 및 비효율적인 쓰레기 수거 체계 등으로 내년이면 운명을 다할 전망이다.

▲대체매립장 어디로

제주시 생활쓰레기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봉개동 회천매립장이 가동된 것은 1992년으로 188t을 매립할 수 있는 규모로 조성됐다.

당초 2016년 포화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달 현재 매립량은 180여t으로 전체의 95%를 넘어섰다.

관광객 증가 등으로 폐기물 발생이 증가한데다, 소각장 용량 초과로 반입되는 가연성 폐기물 183t 가운데 26%(48t)이 매립되고 있다.

1일 평균 매립량이 206t 규모임을 감안할 때 내년 7월이면 조기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지만, 대체매립장 선정은 갈 길이 먼 상황이다.

입지선정위원회는 봉개와 조천읍 교래리, 구좌읍 동복리 2곳 등 4곳을 놓고 고심중이다.

현재 매립장이 있는 봉개동의 경우 매립된 쓰레기를 파낸 뒤 소각한 뒤 재를 다시 파 묻는 리사이클 방식으로 하게 되지만 주민들이 도의회에 신규매립장 반대 청원서를 내는 등 극심한 반대에 직면해 있다.

교래리의 경우 올해 초 제주시가 실시한 매립시설 후보지 공모에 단독 응모했으며, 동복리 2곳의 경우 과거 채석장으로 사용됐던 곳으로 9m의 웅덩이가 있어 매립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후보지에 선정됐다.

입지선정위원회는 4곳 후보지들을 대상으로 전략영향평가와 주민설명회 등을 실시한 뒤, 올 연말이나  내년 1월까지 입지를 선정할 방침이다. 최종입지가 선정된 후 실시설계용역, 매립장 공사 등을 할 경우 2017년 1월에야 가동이 가능해진다.

제주시는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우선적으로 내년에 가연성 폐기물 및 생활폐기물 60t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선별·압축시설’을 회천매립장에 설치할 계획이지만, 예산확보 및 주민동의 절차에 난항이 예상된다.

또한 현재 매립장 3·4공구에 5m를 추가로 쌓아올리는 방안 또한 추진중이다.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2년 6개월 정도 매립장을 더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주민 동의가 관건이다.

동복마을 주민은 “매립장 최적지라는 얘기가 나와 마을회, 개발위원 등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와 선진지 시찰 등이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까지 마을 차원에서 의견이 모아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광역수거 시스템 도입 시급

제주시 전역에 설치된 2193곳의 클린하우스를 통해 분리수거가 이뤄지고는 있지만,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혼합수거가 이뤄져 재활용률은 지난해 37%로 저조한 실정이다.

제주시 읍·면·동에 배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은 모두 59대로 흰색종량제봉투에 담긴 가연성 폐기물을 1차로 수거해 쓰레기 소각장으로 운반하고, 2차로 재활용품을 수거해 선별시설로 운반하고 있다.

그러나 노선 및 시간 등을 이유로 쓰레기 수거차량들이 1차 수거시 여유공간이 생길 경우 재활용품을 혼합 수거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당량의 재활용품들이 가연성 폐기물과 함께 수거돼 그대로 매립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제주시는 이달부터 오라동과 연동, 노형동을 하나로 묶어 생활쓰레기 수집운반 6개 노선과 재활용품 수집운반 4개 노선을 운영하는 광역수거 체계를 시범적으로 도입했다.

제주시는 올 연말까지 1~2개 권역에 대한 시범운영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한 뒤, 내년에는 동지역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RFID ‘돈 먹는 하마’ 전락

올해 1월부터 음식물 쓰레기종량제가 본격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RFID(무선주파수 인식) 시스템이 잦은 고장으로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하고 있다.

제주시는 동지역 50세대 이상 아파트 90개 단지에 RFID 430대를 설치하고 올해 1월부터 음식물 쓰레기종량제를 실시중이다.

2월~7월 RFID 고장건수는 모두 304건으로 1일 1.6건이 오작동을 일으킨 셈이다. 유형별로는 보드오류가 7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통신불량이 59건, 고리·끈 수리 38건, 모터오류 34건, 사용자 미숙 29건 등이다.

문제는 RFID 무상 유지보수 기한이 1년으로 짧아, 수리에 막대한 예산이 지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제주시에 설치된 430대(1차 280대, 2차 150) 모두 무상유지보수 기한이 올해 1월 31일과 3월 31일로 만료됐다.

이 때문에 제주시는 유지보수 업체와 5875만원에 용역을 체결했지만 기간이 이달말 종료될 예정이어서, 연말까지 2500만원을 더 투입해 용역기간을 연장할 예정이다.

이러첨 당장 내년부터 매립장 포화로 ‘쓰레기 대란’이 예견된 상황에서 제주도와 제주시는 지금껏 손을 놓은채 준비를 ‘소홀히’ 해온데다 수거체계 개선도 지지부진하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