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관 후 (시인.소설가)
▲ 김 관 후 (시인.소설가)

  

4·19 직후인 1960년 5월26일. 제주대학교 4?3사건진상규명동지회는 제주신보에 호소문을 발표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학생은 고순화(高順華) 고시홍(高時弘) 박경구(朴卿久) 양기섭(梁基燮) 이문교(李文敎) 채만화(蔡萬華) 황대정(黃大定)등 7인이다. ‘과도정부가 신속 과감하게 4?3사건시 양민학살, 방화 등 모든 야만적 행위를 규명하여 도민의 유한(遺恨)을 풀어주지 않은 한 도민들의 보복감과 정부불신의 사상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용이다.

한국사회당 소속 김성숙(金成淑)은 남제주군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당시 선거에 함께 출마한 강인숙(姜寅淑)은 “혁신당은 사회주의이며 사회주의는 그 원조가 유물론에 입각한 공산주의 사상에서 비롯된 것일 뿐만 아니라 4·3사건도 사회주의자들이 일으킨 폭동이다”고 주장해 한국사회당을 자극했다. 그렇지만 김성숙이 1만3천1백14표 최다득표로 파란을 일으켰다.

김성숙은 국회가 개원하자마자 제일먼저 제주4·3피해자 조사와 위령탑 건립을 위해 ‘제주도 양민학살에 관한 건의안’을 제출하였다. 그러나 5·16군사정면으로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다. 그렇지만 국회에서 최초로 제주4·3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 큰 의미를 던져주었다. 김성숙은 결국 5·16군사정변으로 구속되었다.

1948~1949년, 1만 5천명~3만명의 양민이 군경 토벌대에 의해서 학살된 ‘제주사건’(통칭 ‘4.3사건’ Red hunt')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무렵,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불법적 ‘예비검속(Preventive Detention)' 광풍이 몰아쳐, 무고한 도민들이 경찰에 의하여 ’강제 검속‘을 당하였다. 예비검속자들 중 약 1천명(추정, 모슬포 252명; 서귀포 240~250명; 성산포 6명; 제주 500~600)이 넘는 제주인들은 당시 계엄군에 의해서 아무런 법적 절차 없이 한 밤중에 무참히 총살 이름 모를 산야에 암매장되거나 깊은 바다에 수장되었다. 현재까지 이곳만이 당시의 비참했던 상황을 보여줄 수 있는 제주도내의 유일한 학살터이다

‘제주도민은 4?3의 비극을 겪었다. 나는 제주인의 한과 고통과 희망을 같이 하겠다. 나도 용공조작 피해자의 한사람이다. 내가 집권하면 억울하게 공산당으로 몰린 사건 등에 대해 진상을 밝히고 억울한 사람들의 원한을 풀어 주겠다.’ 1987년 11월 30일. 제13대 대통령선거가 한창일 때 김대중 후보는 제주유세에서 처음으로 제주4·3을 꺼내 들었다.

1997년 12월 당선된 김대중 후보는 <4·3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1998년 3월 30일 ‘제주도 4·3사태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했고, 국무회의 4·3특위는 5월 7일 제주에서, 9월 28일 국회에서 각각 ‘4·3사건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그해 12월 26일 국회에서 제주4·3사건의 진상을 규명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을위한특별법"이 통과되고, 2000년 1월 12일 제정 공포되면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가 착수되었다.

2003년 3월 29일 조사위원회에서 보고서를 확정하였고 조사위원회의 의견에 따라 2003년 10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였다.

‘저는 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대통령으로서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도민들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