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근본 문제 해결 없이 '쓰레기 대란' 막을 수 없어"

▲ 최근 제주시가 재활용 쓰레기 반입량이 늘면서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봉개동주민들이 창고에 쌓여가는 재활용쓰레기를 살펴보고 있다. 박민호 기자

재활용 쓰레기 처리 대책은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 지난달 봉개동 주민들의 가연성 쓰레기에 대한 성상조사 이후 재활용쓰레기 처리문제가 수면위로 떠올랐다. 봉개동주민들은 쓰레기 매립장 창고 마다 수백t의 재활용쓰레기 쌓이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현장에서 성상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봉개동 고종철(42)씨는 “여기에 쌓여있는 재활용쓰레기 상당수가 성상조사 전에는 소각장 혹은 매립장으로 들어갔던 쓰레기”라며 “여기에 함께 섞여있는 젖은 종이류와 유리병·고철 등이 소각장 가동률을 떨어뜨리고, 고장을 일으켜 매립장 포화를 앞당기는 악순환이 반복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최신 설비를 설치해도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인 ‘쓰레기 대란’을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선별장에 쌓이는 재활용쓰레기는 종이와 플라스틱 등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곳곳에는 목재나 고철류, 유리병 등도 눈에 띄었다. 이들이 함께 섞여 있는 모습은 재활용이라기보다 그냥 일반쓰레기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시민들의 부족한 분리수거 의식도 문제지만 현 통합수거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도심에 설치된 ‘클린하우스’에는 가연성·종이·플라스틱·고철·유리병 등 생활쓰레기를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거함이 마련돼 있다. 문제는 시민들이 각각의 재활용 수거함에 분리배출을 하더라도 제주시가 하나의 수거차량을 이용, 이들 재활용쓰레기를 혼합 수거하면서 분리배출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해 봉개동 주민대책위 송현의 총무부장은 “행정에선 시민들에게 분리수거를 홍보하면서 정작 재활용 수거함에 모인 쓰레기를 한거번에 수거하는 이중적이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결국 현장에선 이들 재활용 쓰레기를 재분류 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장에서 분류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은 20여명 남짓. 전 직원이 하루 종일 재활용 분류작업에 매달리고 있지만 이들이 처리하는 량은 하루 20t정도에 불과한 상황이다. 성상 조사 이후 재활용 반입량이 늘면서 매일 쌓여가는 재활용쓰레기를 바라만 보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제주시 여찬현 청정환경국장은 “최근 전 전공무원과 자생단체 등을 투입, 불법 쓰레기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재활용 선별장 가동률을 높혀 하루 30t 수준까지 끌어올리면 조만간 정상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달 수거차량 5대가 추가로 공급되면 통합 수거문제는 해결될 것”이라며 “조만간 민간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재활용쓰레기 처리를 늘려나가겠다”고 밝혔다.

▲ 제주시 내 한 클린하우스에 재활용쓰레기가 넘쳐나고 있다. 박민호 기자

신규 매립장 후보지 결정은

봉개동회천매립장 사용에 한계가 다다르면서 신규 매립장선정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 그 어때 보다 뜨겁다.

제주시는 최근 지역주민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이 ‘협오 시설’이 아닌 ‘마을 발전시설’이라는 인식전환을 마련하고 있지만 여전히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주민들 사이에선 찬·반입장이 나뉘는 상황. 최근 후보지역 중 한 마을이 사실상 결정된 듯한 소문이 돌면서 해당 지역주민들은 민감한 반응이다.

후보지 주민들은 “그 어떤 얘기도 해줄 수 없다”며 다소 신경질 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난달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일부 주민들은 신규 매립장 유치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마을 내에서도 찬·반 입장이 나뉘면서 누구 하나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해당지역 한 주민은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는데 마치 우리지역으로 결정된 것처럼 얘기가 나오고 있다”면서 “그 어떤 회의 결과도, 주민 입장도 말해줄 수 없다”며 말했다.

해당 지역에선 최근 제주시장 면담과 지역 개발위원회 회의를 개최, 이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결과에 대해선 함구하고 있다.

제주시는 “신규 매립장이 결정되면 지금의 쓰레기 사태는 해소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그 진행 상황에 대해선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주민 설득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지역의 찬·반입장이 나뉘는 상황인 만큼, 행정에서 이 문제를 언급하긴 이르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최종 결정은 입지선정위에서 하겠지만 늦어도 이달중에는 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달 중 신규 매립장이 선정되더라도 실제 가동까지는 3~5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시는 이 기간 쓰레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매립장 상단을 높이는 확장 사업과 압축포장기를 도입, 신규 매립장 건설 기간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를 대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