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선거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각 후보자들의 공약(公約)이 드러나고 있다. 모두가 ‘그것이 그것’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상대 후보자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나름대로 힘을 쏟고 있다.

본란이 이미 밝힌 바와 같이, 공약은 구체적이고 현실 적합성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 실현 가능성과 현실 적합성이 없는 공약은 한낱 공약(空約)에 불과하다.

타당성이나 현실성에 대한 구체적 검증없이, 지역 주민들의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듯한 단어를 나열하여 유권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공약의 구색을 맞추기 위해 이것 저것 백화점의 상품을 나열하듯 하는 것 역시 공약으로서 의미가 없다.

지금 우리에게는 할 일이 많다. 국제 경쟁시대를 맞아 지역산업구조도 생산적으로 조정해 나가야 한다. 입버릇처럼 이야기하는 ‘국제자유도시’문제는 아직도 원론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각종 개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길 수밖에 없는 지역주민들의 소외문제도 발전적으로 극복해야 한다. 허약해진 지역정신도 새롭게 다져 나가야 한다. 어디 이것뿐이겠는가.

후보자들의 공약을 바라보는 유권자의 인식도 달라져야 한다. 지금까지 공약을 발표한 당사자들이나 이를 지켜보는 유권자 모두 ‘으례 그러려니’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왔다. 공약을 내세워놓고도 ‘득표활동 따로, 공약 따로’ 행동하는 후보자들의 행태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여 왔다. 그래서 공약은 어느 사이 공약(空約)이 되어 버리고, 공약발표는 선거를 치르는 절차적인 장식에 지나지 않아 왔다.

그러나 이번만큼은 달라져야 한다. 후보자들의 공약을 세밀히 살피고, 그 내용에 따라 후보자를 선택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