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전래놀이
이황이 제자를 맞기 전 던지게 한 ‘투호’
미국 소설가 헤밍웨이도 좋아했던 ‘칠교’
긴 겨울밤 호롱불 켜고 하던 ‘그림자놀이’

예전에는 집에 아이들이 없었다. 더운 날은 냇가에서 돌을 뒤집으며, 추운 날엔 눈을 굴리며 올레나 골목 어귀, 팽나무가 시원하게 그늘 진 마을의 어느 틈에선가 항상 아이들은 떠들썩했다. 전래놀이들은 계절과 세시풍속 등 그 즈음 마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자연물이나 날씨, 마을 문화 등에 영향을 받으며 이뤄졌다. 무더운 여름 옷을 훌훌 벗고 씨름을 하거나 밤이 긴 겨울 그림자놀이를 하는 것처럼 말이다. 

 
▲말뚝박기
말뚝박기는 말이 최상의 교통수단이던 시절, 말 탈 기회가 없었던 서민층 아이들의 욕구가 놀이로 구현돼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말기 스튜어트 컬린이 지은 ‘코리안 게임(Korea Games)’(1895)에 ‘Nobleman Play’라고 하여 말뚝박기를 소개한 글이 있다. 말뚝박기는 가위바위보를 하여 진 쪽이 말이 되고 이긴 쪽은 말에 올라타는 놀이다. 수비하는 사람은 지구력과 끈기가 필요하고, 공격하는 사람은 민첩성과 순발력, 균형감이 필요하다.
 
▲고누
무더운 여름철이면 시원한 나무 그늘 아래에서 땅바닥에다 놀이판을 그려놓고 나뭇가지나 돌을 말 삼아 어른, 아이가 모두 즐기던 놀이다. 말판은 모양에 따라 가로 다섯줄, 세로 여섯 줄씩 금을 긋는 ‘줄고누’, 임금 왕 자 안쪽에 동그라미를 그리는 ‘호박고누’, 동그라미 안에 열십자로 금을 그어 한 칸을 지우는 ‘우물고누’, 네모를 그리고 그것을 둘러싸는 네모를 두개 더 그린 뒤 네모들의 꼭짓점을 따라 곧게 금을 긋는 ‘꽃고누’ 등이 있다. 각기 다른 말판을 그린 뒤 자기 차례가 되었는데도 어느 말도 움직이지 못 하게 되면 지는 놀이다. 우리 말 중 상대방을 뚫어지게 쳐다보는 것을 ‘꼬나본다’고 한다. 실제 고누는 서로의 말판을 뚫어지게 쳐다본다는 ‘꼬느다’에서 온 말이다. 그 표준말이 ‘고누’다. 고누는 바둑의 할아버지뻘 되는 놀이로, 봄과 여름 농촌에서 고누하는 풍경을 자주 볼 수 있었다. 종류만도 50여 가지가 넘는다.
 

▲그림자놀이
옛날에는 방 가운데 호롱불을 켜고 살았다. 자연, 벽에는 그림자가 만들어졌다. 아이들은 긴긴밤 손으로 그림자를 만들어 그게 무엇인지 맞추는 놀이를 하면서 보냈다. 그림자놀이는 이후 음력 사월 초파일에 행해지는 전통 그림자극인 만석중 놀이나 전북 김제시의 그림자놀이와 같은 전통 놀이로 발전했다.

그림자를 이용한 또 다른 놀이로 달빛이 밝은 밤 상대에게 내 그림자를 밟히면 죽는 ‘그림자밟기’도 있다. 서양 사람들은 어둠을 부정적으로 생각했지만 동양에서는 어둠을 밝히는 달을 숭배해 달과 관련한 놀이나 풍속이 많았다.

 

<겨레전통도감 '전래놀이'(보리출판사, 홍영우 그림)에서 발췌>
<겨레전통도감 '전래놀이'(보리출판사, 홍영우 그림)에서 발췌>
▲사방치기
흔히 ‘팔방’이라고도 한다. 여덟 개의 방을 그리고 숫자 1~8을 쓴 뒤 돌(망)을 던지고 돌이 있는 방을 피해 8단계까지 완수하고 나면 맨 앞자리에서 뒤돌아 돌을 던져 돌이 들어간 방을 갖는 방식이다. 누군가의 소유가 된 방에는 다른 사람들은 발을 디딜 수 없다. 사방치기에서는 돌을 잘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가벼우면 멀리 날아가고 무거우면 앞에 떨어진다. 요즘 다시 전래놀이가 관심을 받으면서 놀이터나 학교에 페인트로 사방치기 놀이판을 반영구적으로 그려놓은 곳들도 있다. 지역에 따라 놀이판 모양은 다르다. 돌을 던져 원하는 칸에 들어갔을 때 긴장의 해소에 의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고, 외발로 하는 놀이이기 때문에 몸의 균형 감각을 익히게 된다. 경기도 광명시지에는 광명 지역에서 생겨나 전국에 퍼진 것으로 기재돼 있다. ‘돌차기’ ‘마우차기’ ‘목자놀이’ ‘깨끔집기’ ‘모카’ ‘석축’ 등으로 이름이 다양하다.
 
▲까막잡기, 꼬리잡기
까막잡기는 수건으로 눈을 가린 술래 주변을 아이들이 손뼉을 치며 돌아다니고 술래는 아이를 잡으려 하는 놀이다. 술래에게 잡힌 사람이 술래가 얼굴을 만질 때 간지러워서 웃거나 목소리를 내면 술래가 잡힌 사람을 알아채고 이름을 말하면 진다. 조선시대 최영년이 지은 ‘해동죽지(海東竹枝)’에 까막잡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눈을 가린 상태에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평소에 사용하지 않던 다양한 감각을 키우게 되고, 소리에 집중하면서 집중력을 기를 수 있다. 꼬리잡기는 여러 사람이 두 편으로 갈라 앞사람 허리를 잡고 한 줄로 길게 늘어서서 서로 상대편의 꼬리를 잡는 놀이다. 머리인 ‘편장’과 ‘꼬리’가 서로 한 몸으로 움직여야 줄이 끊어지지 않는다.
 
▲자치기
긴 막대로 짧은 막대를 치거나 튕기는 놀이다. 가을걷이가 끝난 들녘이나 빈터에서 많이 했다. 긴 막대를 ‘채’ ‘큰 자’ ‘긴 자’, 짧은 막대를 ‘알’ ‘작은 자’라고 부른다. 한 쪽에 지름이 손 한 뼘만 한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 둘레에 한 반 쯤 되게 진을 그린 뒤 편을 나누고 서로 번갈아 진을 차지하고 채로 알을 치면서 점수내기를 하면 된다. 짧은 막대는 한 뼘 남짓하며 잣대로 치기 쉽게 양끝을 45도 정도로 비스듬히 깎아 놓는다. 이 때 ‘자’는 채 길이를 기준 삼아 잰다. 아이들은 “오늘은 몇 자 내기를 할까?”라는 말로 놀이를 시작한다. 아이들은 자치기 자체보다 잣수를 흥정하는 데 더 열을 올렸다.
 
▲투호
항아리에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다. 본래 중국 놀이이고 중국 당나라에서 성했는데 우리나라에 전해져 백제나 고구려 때 즐겨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정원에는 으레 대조전 육간대청에서 연중행사같이 왕비를 모시고 투호 항아리를 둘러싸고 함성을 올리며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또 퇴계 이황은 글을 배우러 오는 사람에게 먼저 투호를 시켜 보았다는 말도 전해진다. 백성들은 사기 항아리를 썼고, 궁궐에서는 청동 항아리를 썼다. 던지는 화살은 대개 뽕나무 가지를 다듬어 이용했다. 통과 던지는 사람간 거리는 1.5m 정도였다. 한 사람이 12개 살을 던지는데 한 개가 들어가면 10점으로 계산했다. 살은 병의 위로 5치 가량 되는 데서 수직으로 떨어지게 한다. 던질 때 던지는 사람의 양쪽 어깨가 균형을 취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이기는 것을 ‘현(賢)’, 지는 것을 ‘불승(不勝)’이라 한다.
 
▲깃대 세우기
균형감을 키우는 놀이로 깃대 세우기가 있다. 모래와 흙을 쓸어 모아 가운데 풀이나 나무막대기를 꽂고 오른손으로 한 번, 왼 손으로 한 번 번갈아 가면서 흙은 빼내는데 마침내 풀을 넘어뜨린 사람이 지는 게임이다. 아이들은 깃대를 넘어뜨리지 않기 위해 처음에는 용감하게 쓱쓱 흙을 걷어내다가 깃대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손이 오그라든다. 아슬아슬하게 꽂혀 있는 깃대가 넘어지려는 순간에 이르면 아이들의 긴장감은 극에 달한다. 게임에지지 않기 위해 쩨쩨하게 흙을 가져가는 시늉만 하는 아이들은 비난받는다.
깃대 세우기는 농가에서 정원 대보름 전날 볏가릿대 세우기를 하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다. 우리 선조들은 장대 끝에 벼, 기장, 피, 조 같은 곡식이삭을 달아 처마 앞에 세움으로써 그 해 농사가 잘 돼 노적가리가 볏가릿대만큼 높이 쌓이기를 바랐다.
 
▲칠교
정사각형의 평면을 일곱 조각 내어 여러 가지 형상을 꾸미며 노는 놀이다. 이 놀이를 하면 지혜가 길러진다고 해서 지혜판(智慧板)이라고도 하고, 손님을 머무르게 하는 판이라고 하여 유객판(留客板)이라고도 한다. 여러 도안을 만들어낼 수 있어 ‘7인의 마법사’라고도 부른다. 칠교는 5000여 년 전 중국 광동지방의 ‘탄’이라는 사람 또는 신이 만든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에 전래돼 오늘날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일부로 선정돼 교과서에 실렸다.
 
미국 웹스터 사전에는 칠교를 의미하는 'Tangram'이라는 단어가 있다. 미국의 소설가 헤밍웨이가 칠교를 좋아했고,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세인트 헬레나 섬으로 유배 갔을 때 대부분의 시간을 칠교를 하며 보냈다고 한다. 단지 7개의 조각으로 수천 수만 가지의 형태를 창작할 수 있어 창작의 기쁨과 새로운 도안을 완성하는 성취감을 함께 느낄 수 있다. 단, 모양을 만들 때에는 일곱 개의 조각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 미디어제주 김형훈 기자>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