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 설문-특별자치도 10년

제주매일은 7월 1일 창간 17주년을 맞아 도내 지방·교육공무원과 제주도의회 의원, 시민단체, 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 집단 462명을 대상으로 특별자치도 10년과 원희룡 도정 2년의 평가 및 현안 등에 대해 설문을 진행했다. 이들이 바라본 평가와 공과(功課)를 풀어본다. <편집자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이 올해로 만 10년을 맞았다. 특별자치도를 시행하기 전과 시행한 이후를 총괄적으로 비교하는 질문에 대체로 ‘좋아졌다’고 평했다.

전체 응답자 중 56.4%가 ‘좋아졌다’고 했고 6.2%가 ‘매우 좋아졌다’고 해 62.6%가 ‘좋아졌다’고 느꼈다. 특별도 출범 전과 출범 후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23.5%였고 ‘안 좋아졌다’ 11.1%, ‘매우 안 좋아졌다’가 2.9%였다.

직업군별로 보면 ‘좋아졌다’(매우 좋아졌다+좋아졌다)라는 응답률은 연구원(관)이 85%로 가장 높았고 제주도 지방공무원이 71.7%, 공사·공기업이 71.3%로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게 나왔다. 의회(정치인)와 대학교수, 시민단체, 법조·경찰, 문화·예술·체육인은 ‘좋아졌다’(매우 좋아졌다+좋아졌다)라는 응답이 50%를 밑돌았다.

전체 직업군 중 ‘매우 좋아졌다’는 응답은 연구원(15%), 제주도 지방공무원(11.1%), 공사·공기업(6.1%), 법조·경찰(2%)에서만 나타났다. 교육공무원과 연구원, 시민단체, 문화·예술·체육인은 ‘매우 안 좋아졌다’고 응답한 이가 없었다.

10년 동안 나아진 분야를 묻는 말에 응답자들은 ‘지역 경제(산업)·일자리’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복수 응답 문항에서 응답자 중 18.5%가 ‘지역 경제(산업)·일자리’를 택했고 ‘정치·행정’(14.8%), ‘건설·교통’(12.8%), ‘문화·예술’(12.7%) 등의 순으로 답했다.

직업군으로는 차이를 보였다. 특별자치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제주도 지방공무원은 지역 경제(산업)·일자리(16.8%)-정치·행정(15.7%)-문화·예술(15.1%)-사회복지(13.9%) 순이었고 다른 9개 직업군 평균은 지역 경제(산업)·일자리(19.7%)-건설·교통(16.5%)-정치·행정(14.3%)-수출·통상(12.9%) 순이었다.

개별 직업군을 보면 제주도 지방공무원과 경제인(금융·관광 포함), 공사·공기업이 ‘지역 경제(산업)·일자리’가 가장 나아진 분야라고 답했고, 교수, 연구원, 법조·경찰은 ‘지역 정치·행정’을 선택했다.

또 교육공무원은 ‘외국 지방자치단체와 교류·협력’을, 도의원은 ‘지방재정’을, 시민단체는 ‘건설·교통’을, 문화·예술·체육인은 ‘문화·예술’을 가장 많이 꼽았다. ‘지역 경제(산업)·일자리’는 개별 직업군 중 도의원과 연구원, 법조·경찰군에서 2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별자치도 10년 동안 안 좋아졌다고 생각하는 분야를 선택하는 질문에 응답자 중 가장 많은 26.7%가 ‘환경 보존’을 꼽았다.

10개 직업군 중 9개 직업군이 모두 첫 번째로 환경 분야가 제일 안 좋아졌다고 답했고 법조·경찰만 ‘지역 경제(산업)·일자리’를 가장 나빠진 부분(23%)이라고 답했다.

특히 대학 교수의 경우 ‘환경 악화’ 응답 비율이 41.7%로 전체 직업군 중 가장 높았다.

교육 공무원(39%)과 문화·예술·체육군(31.7%)도 30% 이상이 ‘환경’이 나빠졌다고 응답했고 나머지 직업군에서도 20%대에 달했다.

전체 응답자를 합산해 보면 안 좋아진 분야로 ‘정치·행정’이 13.4%로 두 번째로 높았고 경제(산업)·일자리) 12.7%, 건설·교통 11.8%, 안전 관리 9.9%, 지방재정 8.0%, 사회 복지 6.6%, 수출·통상 8%, 문화·예술 3.7%, 외국 지방자치단체와의 교류·협력 3.3%로 조사됐다.

특별도가 앞으로 10년 동안 중점을 둬야 할 부분 질문에 응답자들은 ‘지역 경제(산업)·일자리’를 가장 많이(30.3%) 택했다. 두 번째로 많은 선택을 받은 분야는 ‘환경 보존’(24.8%)이고, ‘사회복지’(10.9%), ‘정치·행정’(8.8%), ‘지방 재정’(6.13%), ‘건설·교통’(5.19%), ‘문화·예술’(5.32%) 등이 뒤를 이었다. 특별도 출범 이후 가장 나아진 분야(지역 경제·일자리)를 더욱 발전시키고, 가장 안 좋아진 부분(환경 보존)에도 지금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응답은 직업군별로도 대체로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교육 공무원은 지역경제·일자리보다 환경 보존을 우선했고 대학 교수는 사회 복지를 가장 많이(37.5%) 택했고 환경 보존(29.2%)이 두 번째였다.

지역 경제·일자리는 8.33% 수준이었다. 문화·체육·예술인도 지역경제·일자리(23.1%)보다 환경 보존(30.8%)이 먼저였고 공사·공기업은 지역경제·일자리(29.4%) 다음으로 사회복지(18.3%)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응답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