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회 신문의 날을 맞으며

지방신문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제주지역 신문도 어렵다. 이런 어려움은 이젠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공공연한 화제다. 기자들이 경제적 문제로 신문사를 떠나고 있다. 천직으로 알고 기자가 됐던 친구들이다. 지방에서 기자는 직업으로서 더이상 선망의 대상이 아니다.

제주지역에서 신문이 살길은 없는가? 구조조정이니 ‘소진, 장의의 합종연횡’이니 하는 얘기들이 일찍이 있었지만, 이것은 어렵다. 신문사 개체마다 개성과 리더들의 언론에 대한 ‘소신’이 틀리기 때문이다.

나는 신문에 왕도는 없다고 주장하는 주의자다. 정도(正道)를 택하지 않는 신문은 곧 흥망의 문턱에서 해매인다는 생각을 일찍부터 체험으로 혹은 체험적으로 실감하고 있다.

신문의 정도(正道)는 정의에 바탕을 둔 비판의식이다. 케케묵은 언론학 교과서 얘기지만 그렇지 않다. 이것은 언론의 영원한 명제요, 고전(古典)이다.

비판적 신문이 오히려 신문의 경영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얘기들이 있다. 그렇지 않다. 신문사의 경영적 성공은 소속인들의 일치된 단합의 힘과 개개인의 헌신적 종사에서 비롯된다.

신문이 비판적으로 제작될 때야 비로소 이런 현상은 최고조에 달한다고 나는 주장한다. 사원들이 자신이 소속한 신문에 대해 자긍심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자들의 집중력도 비판적 기사들이 보도될 때 가장 높았다.

결국 신문의 살길은 기자 본연의 업무와 연결된다. 신문의 정도가 곧 기자의 정도다. 비판신문에 대한 열정이 있다면 신문은 독자들의 제대로 된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정의감이 결여된 기자는 그 본분에서 일탈해 있다. 기자가 권력층의 부패를 보고만 있다면, 이건 아예 직업의 포기다. 과거의 언론사(言論史)는 ‘권력의 시녀’ ‘권언 유착’ ‘언론 장학생’ 등 추레한 모습을 투영해 준다. 이제 이런 실루엣을 완전히 지워야 할 때다. 그래야 산다. 기자는 어떤 이익과 관련, 공정해야 한다.

언론사주는 어떠해야 하는가? 워터게이트 사건을 보도한 위싱턴포스트의 사주 윌리엄 캐서린의 전기일부를 발췌하며 얘기를 대신한다. 캐서린은 “탁월한 신문은 투철한 의식을 가진 기자들과 훌륭한 사주에 의해 ‘완성’ 된다”는 얘기를 몸소 보여주고 있다.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함으로써 닉슨 대통령을 하야시키고, 미국의 역사와 저널리즘의 새차원을 연 워터게이트 사건은 밥 우드워드와 칼 번스타인 기자의 ‘작품’이다. 두 기자가 주차장에서 딥 스로(내부고발자)의 결정적 제보를 듣는 광경, 이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스런 활동 등은 드라마틱 하다. 여느 폭로보도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취재 활동에도 많은 장애가 있었지만 이를 극복하고 두 기자는 취재에 성공한다.

브래들리 편집국장은 편집국 기자들에게 용기를 주면서 워터게이트 보도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편집국을 리드해 나간다.

캐서린은 닉슨 정권으로부터 회사의 세무조사, 방송국 허가권의 갱신 불허, 제3자로 하여금 워싱턴포스트 주식을 사게 해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시도, 주가폭락 유도 등 협박을 받는다. 닉슨 측근으로부터는 “보도하면 캐서린의 젖가슴을 큰 세탁기에 넣고 짜버리겠다”는 욕설도 들었다. 그러나 캐서린은 이에 굴하지 않고 브래들리와 기자들을 격려했다.

캐서린은 “우리는 이제 물살의 중심에 서 있기 때문에 다시 돌아갈 수 없다”며 강경하게 밀고 나갔다. 후에 캐서린은 ‘사주와 편집국’의 관계를 “에디터에게 무엇을 하라, 하지 말라는 것은 발행인의 권리가 아니다. 그러나 발행인의 분명한 책임은 신문이 완벽하게, 정확하게, 공정하게, 탁월하게 발행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