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타적 경제수역(EEZ)의 어획량을 정하는 한·일 어업협상이 한 걸음도 더 나아가지 못한 채 제자리에서 딱 멈춰 섰다. 지난해 6월 협상이 결렬된 이후 벌써 반년이 흘렀다. 이로 인해 제주어민들의 한숨과 시름이 점차 깊어지고 있다.

예전 같으면 ‘2016년 어기(지난해 7월1일~올해 6월30일)’에 대한 협상을 이미 끝내고 지금은 활발한 조업이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6월 어업협상이 결렬된 후 최근까지 5차례 재협상이 진행됐으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향후 결과마저 점칠 수 없는 상태다.

현재 가장 큰 피해를 받고 있는 곳은 제주다. 일본 EEZ 내에 입어 허가를 받은 206척(전국) 가운데 72%에 달하는 148척이 제주어선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2015년 어기 때는 3090t의 갈치를 해당 수역에서 잡았지만, 아직 어획량이 정해지지 않아 올해는 단 한 마리도 잡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먼 대만 부근까지 내려가 조업을 하고는 있으나 기름값 등 조업경비가 50% 가까이 증가하고 어획량이 대폭 줄어 그 피해가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육지부 대형선망 어선들이 제주연안에서 불법조업을 일삼아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

제주도 어선주협의회가 20일 도의회 도민의 방을 찾아 기자회견을 한 것도 이 같은 현실을 알리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이들은 “장기간 일본 EEZ에서 조업을 하지 못하면서 인건비 및 금융부채 부담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지금까지의 경제적 손실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제 정부나 제주도가 나서 답할 차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