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아이들이 지역에서 자체 개발한 교재로 ‘제주 4·3사건’을 배우게 됐다고 한다. 지역의 의제(議題)는 지역에서 제대로 가르칠 수 있다는 논리에 부응한, 진정한 의미의 교육자치에 한걸음 다가갔다는 평가도 나온다.

제주도교육청이 20일 공개한 교재는 초등학생용(5~6학년)과 중등용 두 가지다. 지식 전달보다는 생각하기에 초점을 맞췄고, 특히 역사의 아픔을 공감하고 평화에 대한 감수성을 함양(涵養)시키는데 주안점을 뒀다는 게 교육청의 설명이다.

도교육청은 이번에 만든 교재를 올해 ‘4·3평화 인권교육 주간’(3월 20일~4월 8일)부터 교육현장에서 본격 활용키로 했다. 이와 함께 총 125개교(초등 50·중등 75개교)가 교육청의 예산 지원을 받아 4·3 현장체험학습에도 나선다.

4·3평화 및 인권교육의 가치가 점점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이석문 교육감의 의지가 반영된 ‘제주만의 4·3교육’에 대한 기대는 매우 크다.

하지만 한편으론 다소의 우려도 있다. 아직 덜 성숙된 아이들에게 역사적으로 채 정립되지 않은 내용이나 사실을 잘못 전파할 경우 자칫 역사를 호도(糊塗)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초등생들에게 생각의 힘을 길러주기 위한 문항엔 ‘해방 후 주체적으로 일어나고 싶어했던 도민들처럼,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노력할 수 있는 일들은’이란 대목이 나온다. 과연 ‘주체적으로 일어나고 싶어했던’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어른의 입장에서도 쉽게 이해가 되지않는다.

따라서 이를 가르치는 교사의 역량과 역할이 그 무엇보다 요구되고 중요시 된다. 현재 ‘제주4·3’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는 아직 미완(未完)이다. 이점 명심하여 보다 신중한 4·3교육이 이뤄지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