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이 지난 26일 베스트웨스턴제주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제주용암해수를 이용한 음료사업 추진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오리온은 롯데·해태·크라운제과와 함께 국내 제과업계 ‘빅 4’로 불린다.

이날 오리온은 그룹 성장을 신수종 사업 분야로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음료산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용암해수 사업권을 갖고 있는 ‘제주용암수’를 인수한 것도 이런 계획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현재 용암해수의 경우 기능성 음료로 규정돼 있어 조례상 도의회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리온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먼저 ‘지역과의 상생(相生)’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를 위해 △5년 내 제주도민 300명 채용 △영업이익 5%를 제주발전기금으로 환원 △영업이익 발생 전 사업초기 매년 5억원 환원 △용암해수단지가 위치한 한동리 주변 인프라 확대 지원 △제주대학교와의 산학협력 이행 등을 약속했다.

하지만 ‘제주 물’과 관련 대기업의 잇단 진출을 보는 시각은 그리 곱지 않다. 최근 들어 한진그룹(퓨어워터)과 신세계이마트(제주소주) 등 대기업들의 제주물 시장 진출이 공공자원인 지하수를 사유화(私有化) 한다는 우려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오리온이 이용하려는 용암해수만 하더라도 탈염(脫鹽)을 한 물이기 때문에 사실상 ‘먹는샘물’이나 다름없다. 오리온은 이 물을 기능성 음료로 만들어 중국과 동남아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그것은 제주삼다수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더욱이 허인철 오리온 총괄 부회장이 기존의 취수량을 늘리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힌 것도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그렇다고 이 문제와 관련 감정적으로만 접근해선 안 된다. 불합리한 조례(條例) 개정 등 제도적 장치를 통해 차분하게 대응하는 슬기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