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절대평가 전환 시안 살펴보니

교육부, 일부 전환과 전 과목 전환 두 개안 제시
11일부터 전국 4개 권역 공청회 거쳐 31일 확정

교육부는 10일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에서 단계적 절대평가와 전면 절대평가 2가지 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1안은 일부과목 전환, 2안은 전 과목 전환이다.

우선 제1안은 현행 7개 과목 중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 등 4개 과목을 절대 평가하는 방식이다.

영어와 한국사는 이미 절대평가 방식으로 치러지고 있다. 여기에 이번 개편 시안에서 신설된 ‘통합사회·통합과학’과 ‘제2외국어/한문’을 추가하는 안이다.

1안의 경우 전 과목 전환에 비해 변화의 폭이 적기 때문에 대입 안정성을 최대화 할 수 있고, 수능 변별력 유지로 학생부 관리가 미흡한 학생들이 재도전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 기존 수능과 유사해 고교에서 학생 진로지도가 용이하고, 대학 역시 수능 변별력 유지로 학생 선발이 상대적으로 쉽다.

반면 상대평가 과목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암기식 문제풀이 등 현행 교육 문제 해소에 한계로 작용한다. 학생들이 상대평가 과목 학습에 몰두하게 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다양한 수업 혁신이 어려워진다. 앞으로도 대입전형 개편 요소가 많아 교육현장에 계속혼란을 안길 우려도 있다.

제2안은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이다. 새 정부가 추구하는 방향이다. 현행 수능 7과목을 모두 절대평가로 바꾸면, 수능 부담이 줄어 학생들은 고등학교 수업에 몰두하며 진로별 학습에 집중할 수 있다. 일선 고교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수능 변별력이 약화돼 또 다른 영역의 변별력 강화를 위한 타 전형요소 확대로 사교육 부담이 늘고, 대입전형 체계의 전반적인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대입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 수능 절대평가 전환은 대입에서 학생부 전형 확대를 의미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내신 관리에 부담을 느끼고,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공정성 문제가 제기될 개연성도 높다.

정부는 11일부터 오는 21일까지 전국 4개 권역에서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오는 31일 최종안을 확정 발표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