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야말로 ‘살충제 달걀’ 파문이 전국을 휩쓸고 있다. 제주도 역시 살충제 달걀이 상당량 유통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살충제 성분 비펜트린이 검출된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생산된 ‘15연암’ 계란 9000개 가운데 97%가 판매됐고, 경기도 이천의 ‘08 광명농장’의 계란 2만1600개 가운데 회수된 것은 8460개에 불과하다.

소비자들은 그야말로 ‘멘붕’ 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안전한 먹거리 가운데 하나로 여겨지던 달걀에서 기준치 초과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면서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 격이다.

이런 상황에서 살충제 달걀의 ‘안전지대’인 방목형 산란계 농장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른바 ‘동물복지농장’은 관행적 과밀 사육 문제의 대안으로, 제주에선 2014년 처음 생겼는데 살충제 계란 파동에서 ‘모범사례’로 부각되고 있다.

살충제 달걀은 닭들이 좁은 닭장(케이지)에 갇혀 스스로 진드기를 떼어낼 수 없자 살충제를 뿌리면서 생겨난다. 그런데 도내 복지농장은 케이지 프리(cage free) 형태로 닭들을 바닥에 풀어키우며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진드기도 모래 목욕 등을 통해 스스로 떼어 내도록 하고 있다.

약품을 쓰지 않는 대신 닭들이 뛰어노는 환경을 제공하며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해내는 것이다. 더욱이 이들 농장의 계란 가격은 일반란보다 2배가량 비싸 ‘보상’도 없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도내 동물복지농장은 태부족한 실정이다. 축산농가 2600곳 가운데 1% 수준인 3곳에 불과하다고 한다.

동물복지농장의 적극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청정 제주의 청정 축산의 새로운 경쟁력으로 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청정한 자연환경만이 아니라 동물들의 사육환경도 청정하다면 소비시장의 반응이 격하게 좋을 것임은 불문가지다. 건강한 먹거리 정책에 대한 행정의 주도적 대응과 농가의 적극적 동참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