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박창열 책임연구원 연구보고서 통해 제시
“시가지 면적 확대 따른 토지 관리체계 강화 못해” 지적도

최근 제주지역은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녹지공간 감소와 도시공간이 확대되면서 개발 이전의 환경적 기능을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주연구원(원장 강기춘)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22일 발간된 기본과제 연구보고서 ‘제주지역의 저영향개발(LID) 기법 도입방안’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박창열 연구원은 제주지역의 경우 동지역을 비롯한 읍·면지역까지 시가지 면적이 확대되면서 토지의 관리체계가 강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박 연구원은 타 시·도의 관련 법제도와 적용사례와 제주지역의 물순환 여건 및 빗물관리 관련 법 제도 등을 토대로 제주지역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일정 규모 이상(연면적 1000㎡ 이상)의 개발사업, 도시재생사업 시 저영향개발 기법을 의무화해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추진해야 하며, 이를 위해 법제도적 기반(관련 조례 등) 마련, 행정적 지원체계(인센티브 등)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지역에 적합한 저영향 기법 발굴과 저영향개발에 대한 인식 확산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제주도민과 관광객들에게 제주도의 물문화 전통과 보전을 위한 홍보 및 교육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제주지역의 물순환 및 빗물관리를 위한 전담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제주 고유의 물문화 전통 계승을 위해 일련의 기법들과 적용지역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개발사업에 의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영향개발 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