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치도가 아시아 최초로 ‘국제안전도시’ 3차 재공인을 달성했다고 한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19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국제안전도시 3차 공인 선포식’이 개최됐다. 무려 1000여명이 참석한 거창한 행사였다.

제주도는 이날 공인 협의서에 서명하며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노력할 것’을 선언했다. 원희룡 지사도 기념사를 통해 “앞으로 도민 체감형 안전도시 사업 전개와 함께 국제안전도시 이미지를 제주관광과 연계해 세계 최고의 안전도시로 도약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제주도민들의 국제안전도시 체감도는 도와 지사의 인식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그것은 제주연구원 박창열 책임연구원의 ‘제주 재난안전관리 현황과 발전과제’ 주제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도민들은 재난 및 안전 문제에 대해 관심(54.6%)은 많지만, 현재 제주지역의 안전 수준은 낮은 것(54.1%)으로 평가했다. ‘안전 제주’를 위한 도와 중앙정부 등의 노력에 대해선 도민의 절반 가량(49.8%)이 ‘불만족’을 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민들은 안전 확보 노력과 의식수준 향상 개선 주체로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순으로 꼽았다. 지방자치단체에 거는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뜻이다.

제주도는 외견상 외국인 등 관광객이 마음 놓고 돌아다닐 수 있는 관광지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올해 초 대검찰청이 발간한 ‘2016 범죄분석’ 자료에 따르면 제주의 인구 10만명당 전체 범죄발생비는 5739건으로 6년 연속 전국 범죄발생비 1위란 불명예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보다 1.5배 이상 많고, 2위인 광주광역시보다 1000건 가까이 많았다. 이는 무분별한 외국인 관광객 유입 등으로 치안 상태가 불안해진 때문이란 것이 대검의 분석이었다.

특히 1년 전인 지난해 9월 중국인 관광객이 한 성당에서 기도하던 60대 여성을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미증유의 사건은 지역사회를 충격에 빠뜨렸었다. 당시 제주도와 경찰 등 관련당국은 재발방지 등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굳게 약속했다.

하지만 그 이후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단지 ‘사드 보복’으로 인한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범죄가 다소 줄어들었을 뿐이다. ‘국제안전도시 3차 공인’이 허망해지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