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사건 70주년 국제학술대회 허호준 박사 주장
“美, 발포 책임자 처벌 않아 총파업 등으로 이어져”

제주4·3 당시 수많은 도민들의 피해는 냉전 체계 형성기 미국의 반공정책과 연관돼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4·3의 도화선이 된 1947년 삼일절 기념대회 경찰 발포사건(제주3·1사건) 70주년을 기념한 국제학술대회가 22일 제주4·3연구소 주최로 제주 아스타호텔에서 열렸다.

4·3의 성격 규명과 이를 통해 정명(正名)을 찾기 위해 열린 이날 학술대회에서 허호준 정치학 박사(한겨레신문 기자)는 ‘냉전체제의 형성과 제주도’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허 박사는 “1947년 3월 12일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의 독트린 선언 이전부터 한반도는 이데올로기의 치열한 싸움터였다”면서 “독트린 선언의 직접 계기인 그리스 내전에 미국 개입이 이뤄진 시기와 비슷하게 제주도를 비롯한 남한 각지에서는 좌, 우 대립이 치열하게 벌어지는 ‘이데올로기의 전쟁터’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독트린 발표 12일 전, 제주에서는 ‘3.1사건’이 발생했다”면서 “1947년 일련의 사건이 없었더라면 1948년의 상황(4.3사건)은 닥치지 않았을지 모른다”고 말했다.

또 “3.1사건 이후 미군정이 발포자와 발포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처벌을 했더라면 '3.10 민관 총파업'의 명분은 없었을 것"이라며 "미군정이 극우파 유해진 도지사의 독재적 행정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신속하게 경질했더라면 무장봉기의 대의명분은 약했을 것이나, 미군정의 실정과 정책판단 오류는 미군정 스스로 예견했듯 제주도민들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넣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군정 당시 발생한 제주4.3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여순사건, 한국전쟁 이후까지 이어진 '긴 사건'이었다"면서 "이 기간 수많은 제주도민은 '반공'의 이름 아래 죽어갔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이날 문경수 일본 리쓰메이칸대 교수의 냉전체제와 재일조선인, 대만 2·28과 제주4·3 국제연대에 대해 발표에 나선 주립희 대만 국립정치대 교수 등의 발표가 이어졌다.

제주3·1사건은 1947년 삼일절 기념대회 참가자를 향해 경찰이 발포, 도민 6명이 숨진 사태를 의미하며, 제주4·3의 도화선이 됐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