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육지산 돈육 반입 허용 조치에 각종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고개를 들고 있는 ‘백신 접종론’도 그 중 하나다. 도는 질병 유입을 막기 위해 반입 3일 전 신고토록 하고, 돈육 시료를 채취하는 등 돼지열병 바이러스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것만 갖고는 역부족이란 시각이 많다. 일각에선 자칫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유입될 경우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제주농가에 ‘대재앙’이 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 2002년 제주도는 지역 농가의 백신접종 금지와 함께 다른 지역 돼지고기의 반입을 금지하면서 ‘비백신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2004년 ‘롬주’가 사료에 섞여 유입되며 진통을 겪은 끝에 약 5년 만인 2009년에야 종식됐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2014년 백신 오접종으로 또다시 유입된 롬주는 그해 20농가를 시작으로 2015년 22농가, 지난해 32농가로 확산됐다. 그나마 축정당국과 농가의 노력으로 올해 17농가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제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은 부정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특히 현재의 검사 시스템으론 현장에서 돼지열병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가 없어 바이러스 차단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바이러스 발생 시 즉각 반입금지 조치를 취하겠다고는 하나, 가장 빠른 검사도 하루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감염 돼지고기의 완전한 차단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태다.

그렇다고 우려만으로 백신 접종을 하는 것은 ‘청정 제주산 돼지고기’의 이미지와 근간마저 무너뜨릴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상황을 염두에 둔 제주도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우려가 현실’로 변하는 것은 그야말로 순간적이기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