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매년 가뭄 피해 속 물 수요 급증
물 배분 원칙·지하저수조 등 바람직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등의 영향으로 제주에도 가뭄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올해는 유독 한라산 주변 고지대의 강수량은 계속된 가뭄으로 연평균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해 어승생 수원 Y계곡 용출량이 급격히 감소했다.

반면 지속적인 인구유입과 개발 등으로 물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여름철 물 부족 현상이 이제는 당연한 것처럼 여겨질 정도다.

올해도 도내 중산간 20여 개 마을엔 35일간 격일제 급수가 실시됐다. 한경면 고산 지역에서는 묘종 이식과 파종 시기가 겹치면서 지하수 사용량이 급증, 해수침투로 작물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리고 도 전역의 용천수 용출량이 감소하면서 용천수를 쓰는 지역에선 민원이 제기됐다.

현재 제주도의 가뭄대책은 상수도와 농업용수 분야로 이원화돼 있고, 주로 물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돼 있다. 그러나 문제는 제주도의 경우 지역 특성상 가뭄 시에 실제 공급할 수 있는 물이 지하수로 한정되다 보니 과다한 지하수 사용 시 해수침투 우려가 발생 할 수 있다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이상기후 현상은 강우패턴 변화와 더불어 장기 가뭄까지 동반하고 있다. 따라서 계속되는 가뭄에 대비한 원활한 물 공급 체계 구축과 더불어 지하수의 해수침투 방지 등 수자원 보존과 관리에도 적극 대비해야 한다.

우선 단기 대응 방안으로는 ‘가뭄 시 물 공급에 있어 우선순위’ 결정이다. 생활용수·공업용수·농업용수, 그 밖에 용수 순으로 ‘물 사용 및 배분 원칙’을 마련, 시행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상수도용과 농업용으로 분리된 공공 지하수는 지속적인 가뭄에 대비, ‘상수도와 농업용 지하수를 연계하는 통합관리’로 전환해야 한다. 즉 수질이 양호한 농업용 지하수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배관과 소독시설 등을 갖춰 놓는 것이다.

그리고 한정된 지하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가뭄 시 물 다량 사용업체의 지하수 사용 제한이다. 대신 제한된 양 만큼 지하수 원수대금 등을 감면시켜 주는 방안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 대응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첫째, 용천수와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마을 단위 1만t 이상 규모의 지하저수조 설치다. 비닐하우스 밀집지역에선 집중호우 시 90% 이상의 빗물이 하천이나 도로로 유입돼 침수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지하저수조를 설치하면 대부분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재해 예방도 가능, 일석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활용이다. 방류수의 경우 고도처리를 위한 시설 설치나 운영 등에 대한 예산상의 고려가 필요하지만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유용한 대체 수자원이다. 현재는 심미적인 요인과 이용하기 편한 지하수 탓에, 가뭄시에도 바다로 버려지고 있다.

셋째, 지하수의 인공함양 시설 확충이다. 지하수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지하수위 하강이나, 해수침투 등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빗물 등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인공함양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염지하수의 담수화 시설이다. 제주도는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아 수자원이 양호하지만, 지역 특성 상 3개월 이상 가뭄이 지속될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수자원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한 담수화 시설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때가 됐다.

마지막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통합 수자원관리체계 운영이다. 이를 통해 지하수 관리 효율화, 대체수자원 개발·이용 확대 등을 통해 가뭄 대비는 물론 청정과 공존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제주의 미래를 위해 지하수 자원의 적정관리와 용수의 안정적 확보가 무엇보다 우선돼야 함은 재론할 이유가 없다.

우산은 비가 오기 전에 준비하는 것이다. 제주 수자원 관리 시스템엔 이미 경고등이 들어왔다고 본다.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물은 제주의 생명자원이자, 지속가능한 소중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