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사립대학의 감독기관인 제주특별자치도가 되레 제주지역 사립대학의 경쟁력 약화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민 제주한라대 간호학과 교수는 지난 17일 ‘진실과 정의를 위한 제주교수 네트워크’와 제주연구원·제주학연구센터가 공동개최한 토론회에서 ‘제주 사립대학의 문제와 해법’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정 교수는 “사학 지도감독권한이 교육부에서 제주도로 넘어온 이후 도내 대학의 경쟁력이 오히려 약화되고 있는 것 같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도내 사립대학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족벌체제 운영을 꼽았다.

정 교수는 “제주한라대는 이사장과 이사·총장이 한 가족, 관광대는 이사장과 총장이 한 가족, 국제대는 비리재단이 복귀해 설립 당시 이사장 가족이 학교 경영에 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도내 3개 사립대학 모두 ‘족벌체제’가 용인됐거나 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이같은 구조가 민주적이고 투명한 대학 운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도내 사립대학의 여러 교육환경 지표들이 국립대보다 낮고, 지역 특성화 교육과정과 거리가 먼 부문에서도 ‘다학년 학과’ 신설이 많은 현실을 적시했다.

정 교수는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 지도감독기관의 전문성 부족과 역할 인식 미흡을 들었다. 이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가 할 말이 없지는 않겠지만, 대학교수로부터 공개된 토론의 장에서 이런 말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 ‘충격’으로까지 다가온다.

전문성 부족도 문제이고, 역할 인식 미흡은 더욱 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것은 ‘자동차 운전을 맡았다면 사고를 내지 않도록 열심히 연습해야 함에도 그렇지 않았다’는 말이다. 역할 인식 미흡은 ‘운전은 하는 데 어디로 어떻게 가야할 지를 모른다’는 얘기에 다름 아니다.

그야말로 총체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별자치도라고 특별히 잘해보라고 권한을 부여받고는 보통도 하지 못하는 있는 셈이다. 이는 단지 사학의 문제뿐만 아니라 제주특별자치도 전체의 자치역량에도 물음표를 던지게 하는 ‘사태’로 개선이 시급함을 강조한다.

“지금 제주도는 사학의 자율성과 대학의 공공성 사이에서 지도감독청이 스스로의 역할에 대해 분명한 철학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정 교수의 지적을 전한다. 아울러 지금이라도 사학들에 대해 공공적 책무를 강조해 나갈 것을 제주도에 주문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