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이 내후년 전국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실릴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1일 서강대에서 열린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검토 공청회’에서 “광복이후 정세에 4·3을 학습요소로 반영해 달라”는 제주도교육청의 요구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정책연구진이 받아들인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고 한다.

이날 공청회는 지난해 7월 ‘박근혜 정부의 일방적’ 국정 역사교과서를 폐지한데 따른 후속조치였다. 교육부는 ‘새로운’ 검정역사교과서 적용 시기를 2020년으로 결정하고 그동안의 쟁점과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개정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4·3은 2020년부턴 역사교과서에서 ‘8·15 광복과 통일정부 수립운동’이라는 대주제 아래 냉전·광복·남북협상 등과 함께 ‘주요 사건’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4·3 학습요소’가 연구진 시안에 담긴 상황이지만, 한국적 사회 분위기나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도 궤를 같이 하고 있어 현실화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전국 고교 역사교과서에 학습요소로 반영될 경우 4·3의 큰 과제 가운데 하나인 ‘4·3전국화’에 적잖이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사의 경우 전국 고교생들의 필수과목인데다 ‘학습요소’는 해당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핵심 키워드이기 때문이다.

모쪼록 이번을 계기로 ‘4·3의 역사’가 제주를 벗어날 수 있길 바란다. 4·3은 우리나라 대통령이 제주도민들에게 공식 사과를 하고 국가추념일까지 지정될 정도의 ‘역사적인’ 사건임에도 지금까지 역사교과서에도 실리지 못하는 등 제주에 갇혀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다. 제주4·3을 제대로 볼 수 없다면 희생을 넘어선 평화, 화해와 상생이란 4·3의 가치를 서로 공유할 수도 없을 것이다. 기대하는 것 자체가 공허할 뿐이다.

여기에 국민을 대상으로 한 4·3의 전국화와 국가의 미래인 학생들이 4·3을 배워야할 당위성이 있다할 것이다. 하루 속히 모든 국민들이 희생을 넘어선 4·3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행정과 교육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