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금융기관 가계대출 잔액이 무려 14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도내 가계 빚이 줄어들기는커녕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최근 발표한 ‘2017년 12월 중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금융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13조753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보다는 1.5%(2053억원),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선 21.5%(2조4292억원)나 증가한 것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도내 가계 빚 증가 속도는 둔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전국에 비해서는 아직도 3배 가량 높은 실정이다. 지난해 전국 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7.3%에 불과했다.

제주도내 가계부채(대출) 증가율이 전국 증가율을 웃돈 것은 지난 2012년 10월부터. 2013년 5조3335억원에 그쳤던 가계부채 잔액은 2014년 6조2097억원으로 늘더니, 2015년에는 8조1253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2016년 무려 38.9%가 증가한 11조3246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지난 2008년 시작한 가계부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물론 여기엔 나름대로의 이유와 원인이 있다. 제주로의 이주 열풍이 가속화된 데다 중국인 관광객 급증으로 인해 주택 건설 붐 등 부동산 경기 호황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중국의 ‘사드 보복’ 등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해 지역경기가 침체된 이후 아직도 바닥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이 같은 상황에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도내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은 연간 1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때문에 향후 금리 인상 시 도민들의 소비여력 감소 등 제주경제의 아주 큰 리스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마치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안고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제주지역의 경우 육지부에 비해 ‘고정자산’이 많다는 낙관론도 있으나, 향후 상황 변화에 따라 어느 한 순간 ‘거품’이 꺼지면 아주 어려운 처지에 놓일 것이라는 비관론이 고개를 쳐들고 있다. 제주자치도 등 관련당국의 주도면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