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는 교수의 제자 성추행 사건과 관련 최근 성명을 내고 “가해 교수 전원을 수업에서 배제하라”고 촉구했다. 중앙운영위는 제주대 총학생회 및 총여학생회 등 학내 학생단체로 구성된 기구다.

이들은 “제주대 교수회는 현재 상황에 대해 모든 교수를 대표해 공식으로 사과하고 대학본부와 함께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스승과 제자가 갑과 을의 관계로 바뀌고 지위를 이용해 대학의 의미를 퇴색시켜가는 현재의 상황을 더는 바라보고만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제주대 중앙위는 앞으로 ‘학생 인권 대책위원회’를 구성, 사태 해결 등 대학 정상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학생들이 비상대책위까지 만들어 성추행 교수들을 수업에서 배제하라고 촉구한 것은 아주 당연한 요구다. 어쩌면 이런 요구 이전에 해당 교수들이 자숙하는 의미에서라도 스스로의 거취를 먼저 표명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교수는 물론 제주대 교수회가 아무런 입장을 나타내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은, 역시 ‘가재는 게 편’이라는 의혹과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더욱이 제주대의 제자 성추행 사건은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의 여파로 드러난 것이 아니다. 이에 훨씬 앞서 지난해 피해 제자들의 고소로 경찰에서 조사를 받고 검찰에 송치된 경우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제주대 A(53) 교수는 지난해 6월 연구실에서 남녀 제자 2명을 성추행한 혐의로 이달 14일 검찰에 송치됐다. 하지만 A교수는 경찰 조사에서 친근함의 표시로 몸을 만졌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대학 B(45) 교수도 자신의 자가용에서 여학생 제자의 신체 주요 부위를 만진 강제추행 혐의로 지난해 12월 검찰에 송치된 바 있다.

가해 교수들은 성추행과 관련 ‘친근함의 표시’라고 둘러대고 있으나, 오죽하면 ‘을’의 입장인 학생들이 직접 스승을 경찰에 고소하고 나섰겠는가. 여기엔 상당한 고민과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해당 교수들이 피해 학생들과 버젓이 한 공간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결코 정상적인 일이 아니다.

‘미투 운동’은 케케묵은 우리사회 전반의 ‘부끄러운 민낯’을 다시금 들춰내고 있다. 그것은 지성의 전당이라는 대학도 예외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썩은 살은 깨끗하게 도려내야 새 살이 돋아나는 법이다.

마침 제주대학교는 송석언 새 총장이 취임해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고 있다. 교수들에 의한 제자 성추행을 방관 외면하면서, 제주대가 어떻게 새 희망과 미래를 말할 것인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