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교육계에 IB(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 교육과정이 ‘논란’이다. 제주교육의 수장인 교육감은 도입에 열성적인 반면 교사와 학생 등 현장의 반응은 그렇지 못하다.

이석문 교육감은 지난해 11월 “2015개정교육과정의 정확한 수업모형이 없어 평가 내실화에 어려움이 크다”면서 IB교육과정 도입 방침을 처음 밝혔다. IB는 스위스 비영리교육기관에서 1968년 개발한 교육과정으로 심화과목 선택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진로를 준비할 수 있고 전 과목 논·서술형 평가체계라고 한다.

현재 도내에선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와 브랭섬홀아시아 등 국제학교에서 시행중이다. 지구촌 전체로는 4800여개 학교에서 도입했다고 한다.

이른바 도내에서도 ‘선진’으로 분류되는 국제학교 등 많은 학교들이 선택하고 있는 만큼 괜찮은 교육과정일 것으로 여겨진다. 문제는 교육 현장의 ‘공감’과 ‘속도’다.

도교육청은 초·중학교의 경우 올 하반기 시범학교 공모 후 내년 3월부터, 고교는 내년 인증 신청을 시작해 2022년에 정부의 고교학점제 시행과 더불어 읍면지역 일반고부터 도입할 계획이다. 초·중학교의 경우 제주에 IB라는 말을 처음 꺼낸 지 1년도 안 돼 공모가 이뤄지는 것이다.

아직 학생과 학부모들은 물론 교사들도 IB체제를 알지 못한다고 한다. 결국 교육현장은 어디로 가야할 지도 모르는데 교육청만 한참 앞서 달리는 형국이다.

취지가 좋아도 현장의 공감이 없으면 독불장군에 다름 아니다. 머리만으로 움직일 수는 없다. 손과 발이 따라줘야 효과가 발생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교육감은 교육 수장인 만큼 정책을 밀어붙일 수는 있다. 그래도 성급한 정책 추진으로 인한 부작용은 없을지 면밀히 따져줘야 한다. 정말 필요한 정책이라면 좀 더 시간을 두고 제도의 체제와 장점에 대한 교육현장의 공감을 얻고 추진할 것을 당부한다. 교육을 시키는 것은 어른들이지만 교육의 소비자는 학생들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