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인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화해 분위기가 무르익는 가운데 제주도가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도는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물인 ‘판문점 선언’의 후속조치 일환으로 이달 중 중국 베이징에서 북측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와 만나 평화협력사업 재추진과 관련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도와 민화협간 협의가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정상회담 이후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북한과 교류협력의 물꼬를 트는 사례가 될 전망이다.

북측 민화협과의 만남과 협의를 앞장서 추진 중인 김일용 제주도 서울본부장은 “판문점 선언 직후 북쪽 민화협에 제안했고, 상당히 이례적으로 곧바로 답장이 와서 나도 놀랐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회신을 통해 북쪽의 진정성과 의지가 엿보였다”며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성사 가능성을 매우 높게 점쳤다.

제주도는 이미 지난 1월 통일부의 접촉 승인을 받고 북측 민화협에 감귤(농축액)보내기와 오는 6월 26일 열리는 제13회 제주포럼에 조선장애인예술단 등 북쪽 인사들의 참여와 공연을 요청했다. 도는 북한의 인사들이 제주포럼에 참석하게 된다면 제주도가 추진하는 스마트그리드와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접목시켜 북한의 도시 모델에 적용하는 주제를 한 세션으로 마련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앞서 제주도는 지난 2014년 원희룡 지사가 발표한 평화협력 5대 제안과 2015년 에너지 평화협력 교류사업으로 상징되는 ‘대북협력 5+1 제안’의 후속조치를 진행해오다 여러 국내외 요인으로 인해 평화협력사업 자체가 중단된 바 있다.

당시 원 지사는 △북한에 감귤보내기 추진 △제주와 북한을 잇는 크루즈 관광라인 개설 △남북한 교차관광 △한라산-백두산의 생태 및 환경보존 공동협력사업 △2016 제주포럼 북쪽 대표 참석 △에너지 평화협력사업 등을 북측에 제안했었다.

제주도는 지난 1999년 북한에 감귤보내기 사업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먼저 남북교류협력의 물꼬를 튼 전력이 있다. 이에 화답한 북측 민화협의 초청으로 제주도민들의 대규모 북한 관광방문도 성사되어, 2002년 5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4차례에 걸쳐 도민 750여명이 북녘 땅을 밟았었다.

하지만 일각에선 “남북 정상회담이 성공했다고는 하나 아직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계속되고 있고, 정상회담 합의문에 대한 국회 비준 및 북미 정상회담 등도 지켜봐야 한다”며 “섣부른 행동보다 국내외 상황을 주시하며 차분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