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에서 양돈산업은 두 얼굴의 ‘야누스’다. 양돈업은 조수입이 도내 1차 산업의 10%를 넘게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이다. ‘선한’ 양돈업의 한 면이다.

반면 양돈산업엔 ‘악한’ 모습도 분명히 존재한다. 축산분뇨로 인한 환경오염이다. 축산폐수는 무단 방류 등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킴은 물론 주민생활과 관광에 많은 불편을 야기하는 악취를 발생시킨다.

더욱이 문제는 그 정도가 계속 심각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축산분뇨의 경우 도내 양돈농가들이 불법 배출 등 환경을 파괴하는 ‘양심불량’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10월 한림읍 용암동굴에 가축분뇨를 무단 배출한 양돈업자 2명이 구속된 지 불과 두달 만에 다시 7개 농장이 가축분뇨 공공수역 불법배출 등의 혐의로 적발됐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지역의 공공재인 지하수와 공공수역 오염은 안중에도 없는 얄팍한 상혼에 제주 사회가 큰 충격을 받았다. 도민들은 적발 사례가 빙산의 일각일 것으로 우려하기도 한다.

또한 축산악취도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악취 민원이 2014년 306건에서 2015년 573건, 2016년 668건으로 3년 새 갑절이상으로 늘었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가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위한 사전 조사에선 검사 대상 101개 양돈장 가운데 98개가 악취기준을 초과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차기 도지사 후보들도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후보는 가축분뇨 집중 처리시설 확충을 해결 방안으로, 자유한국당 김방훈 후보는 새로운 기법의 가축분뇨 재처리시설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녹색당 고은영 후보는 무단 방류 ‘원 아웃제’ 도입을 통한 제주축산업계의 체질 개선을, 무소속 원희룡 후보는 객관적인 검사시스템 도입과 수익자부담 원칙을 적용한 기반시설 확충을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후보들의 대책마다 장단점이 있어 보인다. 그래서 어느 후보가 도지사로 당선이 되든 이 모든 대책들을 통합해 추진해 줄 것을 주문한다.

도내 축산분뇨 등 폐수 처리와 악취문제는 어느 한 두 개의 대책으론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지방선거 이후 축산폐수·악취에 대한 획기적이고 통합적인 대책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