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경제활동인구 증가에도
취업자 수는 오히려 감소
이주민 직업 찾아 유입 지속

청년층 취업경쟁 치열할 전망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절실
원주민 배려 정책대안 개발도

 

 

빛은 그림자를 남긴다. 매사 밝은 면이 있으면 어두운 면도 있게 마련이다. 제주 인구 증가도 양면성을 가진다. 이주민 유입 증가가 규모의 경제 실현에 도움이 되고 있는 반면 집값 상승 및 일자리 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인구 측면에서 제주도는 복 받은 기관이다. 다른 자치단체처럼 인구 늘리기에 골머리를 앓지 않아도 된다. 이주민 행렬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지역 순이동(총전입-총전출) 인구는 2010년(437명)부터 증가로 전환됐다. 2016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1만4632명, 1만4005명이 순유입 됐다. 올해 들어서도 월평균 1037명씩 늘고 있다. 2010년부터 올해 4월까지 순유입 인구는 7만2633명에 달한다.

이 같은 인구 순유입 증가세는 내수 확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방세수가 늘어나고, 젊은 층 유입으로 고령화 추세가 늦춰지면서 성장 잠재력이 올라가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부정적 요인도 만만치 않다. 제주 집값 급등 원인의 하나로 이주민 증가를 꼽는 견해가 많다. 인구가 갑자기 느는 바람에 주택이 부족해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것이다. 다행히 집값은 지난해부터 상승세가 멈춰 잡히는 분위기다.

이주민 증가와 관련해 최근 지역에서 부각되는 문제는 일자리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해 제주지역 순이동자의 약 63%가 전입의 주된 사유로 ‘직업’을 꼽았다. 문제는 늘어나는 이주민들의 직업 수요를 충족할 정도로 지역에 일자리가 충분치 않다는 점이다.

최근 제주지역은 경기 하강에 최저임금 상승까지 맞물려 취업난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경제활동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취업자 수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제주지역 15세 이상 인구는 5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5000명(2.9%) 증가했다. 하지만 취업자 수는 37만1000명으로 작년 5월보다 5000명(1.4%) 감소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제주지역 취업자 수는 지난 2월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일자리 찾기가 어려워지면서 아예 경제활동에 나서지 않는 사람들도 늘었다. 지난달 제주지역 비경제활동인구는 16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1000명(14.2%)이나 증가한 반면에 경제활동인구는 37만7000명으로 작년 5월보다 6000명(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늘면 일자리가 창출되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인구 증가 속도에 비례해 일자리가 늘지 않는 게 현실이다. 이주민 유입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취업난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 도민들이 일자리 잡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특히 청년들의 취업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공산이 크다. 제주 이주민의 62%(올 1분기 기준) 정도가 20~40대이기 때문이다. 인구 증가에 대응해 당국의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원주민들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이주민 정착 지원에만 신경 쓰면서 원주민들을 뒷전으로 놓아서는 안 된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지난 선거 슬로건인 ‘제주가 커지는 꿈’을 실현하기 위해선 청년들이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피력한 바 있다. 제주의 청년들이 자신이 바라는 꿈을 이뤄낼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만드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공무원을 비롯한 공공부문의 정규직 일자리를 획기적인 수준으로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다. 임기 중에 공무원 2500명, 공기업 3500명, 공공사회서비스 4000명 등 정규직 일자리 1만개를 확충, 제주 청년들이 지역에서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점은 제주도민 우선할당제(80%), 도내 최소 거주기간(3년) 적용 등 청년들의 채용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지역 인재 유출과 청년들 고용절벽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는 합리적 대책이라고 본다.

아울러 민간부문에서의 일자리 만들기에도 주력해야 한다. 민선7기 제주도정은 우수 중소기업 육성 지원 및 우량 기업 유치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더욱 강화해 줄 것을 주문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