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 감귤농정이 아주 미덥지 못하다. 감귤 부패과 대책도 일반적인 내용 이상을 내놓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작 중요한 예상생산량은 발표도 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도는 도농업기술원과 농협·감귤출하연합회 등 행정 및 생산자단체가 생산과 유통단계별로 극조생 감귤 부패 원인을 분석하고 기관별로 역할을 분담해 나가기로 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그러면서 고온다습한 환경과 약제 미 살포(수확 전), 부의로 인한 상처과(수확 단계), 철재 컨테이너 내부온도 상승(유 통단계) 등을 부패 원인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대책으로 교육 및 영농지도, 팸플릿 배부, 일본 전문가 초청 심포지움, 자동화물 운송체계 구축, 부패방지제 공급 등을 제시했다. 서울가락시장 등 도매시장별 부패과 상황 모니터링 계획도 발표했다.

문제는 대책이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점이다. 부패과 발생원인의 경우 감귤 농사를 짓는 사람이면 누구나 알고 있는 내용이다. 대책도 원론적인 것 이상이 없다.

제주도 농정, 특히 감귤농정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 특히 농가에게 가장 절실한 정보인 예상생산량을 아직까지 발표하지 않고 있다. 오차가 적지 않아 지표로서의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그래서 제주 감귤농민들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하는 ‘7월 과일관측’ 자료 등을 이용하고 있다. 지난 6월말 준 도내 노지감귤 단위면적(10a)당 착과수는 전년보다 9%‌많은 것으로‌추정된다고 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하는 데 ‘감귤의 고장’인 제주도의 행정이 하지 못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가 없다. 그야말로 감귤농정의 주권(主權) 포기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오차 최소화 노력과 함께 제주도가 예상생산량을 발표해야 한다. 혼란 등을 핑계로 예상생산량 발표를 않는 것은 명백한 책임회피이자 직무유기임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