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광객을 주 고객으로 호황을 누렸던 제주 크루즈관광산업이 위기에 빠졌다. 중국 정부가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제) 배치 결정에 따른 보복으로 자국민들의 한국 여행 자제령을 내린 결과다. 이에 따라 본지는 좌초 위기에 직면한 크루즈관광산업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 타개책과 발전방안을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 제주항에 기항에 있는 국제크루즈선 [제주매일 자료사진]

제주의 크루즈관광산업은 구조적 문제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 2016년 100만명 돌파라는 기록을 세우며 기대감을 한껏 키웠다.

하지만 사드 역풍으로 이듬해부터는 실적을 내놓을 수 없을 정도의 초라한 성적을 기록,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1일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말까지 제주를 찾은 국제크루즈선은 9항차에 머물고 있다. 관광객 역시 9215명에 그치며 초토화되다 시피한 상태다. 항로 역시 일본과 월드와이드로 중국발 크루즈선은 전무한 상태다.

2018년도 제주 크루즈항 선석배정은 당초 제주항 296항차, 서귀포 크루즈항 305항차 등 총 601항차가 예정돼 있었다. 7월까지 계획된 물량만 제주 164항차, 서귀포 158항차에 달했지만 무더기로 취소된 것이다.

제주도는 이후 지난 7월 25일 다시 선석배정(8월~12월)을 조정해 제주 100항차, 서귀포 105항차로 계획해 뒀지만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앞서 제주의 크루즈관광객은 2012년 처음으로 10만명을 넘어선 뒤 2013년 38만6139명(184회 기항)으로 훌쩍 성장했다.

이 후 2014년 59만400명(242회), 2015년 62만2068명(285회)에서 2016년 120만9106명(507회)로 정점을 찍으며,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2017년 사드 역풍을 맞으며, 중국발 크루즈 기항 취소가 잇따랐고 결국 18만9732명(98회)을 유치하는데 그쳤고, 올해는 초토화 돼버렸다.

제주의 외래 관광시장이 중국 일변도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중국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은 수년전부터 제기돼 왔다. 중국정부가 외교적 갈등 등으로 자국 이익을 쫓아 ‘여행 자제령’을 내리면 제주 외래시장은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위기에 부닥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마 그렇게까지 할까’하며 의구심을 갖는 사이, 사드라는 암초에 걸려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실제 최근 5년간 제주를 찾은 크루즈 관광객은 299만7445명이다. 이 가운데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한 비중은 93%에 달했다. 중국 수요를 빼고는 제주크루즈관광을 얘기할 수 없을 정도의 비중이었다.

물론 제주도 관광당국이 ‘중국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국적 다변화를 위해 해외마케팅에 노력을 쏟아 부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이렇다 할 큰 성과는 내지 못해 거센 후폭풍을 온 몸으로 감내해야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지적에서는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크루즈관광은 ‘기항 시간이 짧아 경제적 파급효과가 적고 대기업 면세점 배만 채워준다’는 부정적 인식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관련 업계가 감내해야 하는 무게가 적지 않아 크루즈관광 정상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