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대중교통체제 개편이 지난 26일로 1주년을 맞았다. ‘더 빠르고, 더 편리하고, 더 저렴하게’를 슬로건으로 내건 대중교통체제 개편은 시민과 관광객들의 버스 이용률을 높여 도내 극심한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개편 초기 버스노선, 배차간격 등의 불편함도 있었지만 1년이 지난 지금은 개선을 통해 어느 정도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투입한 예산에 비해 성과는 미흡하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로 대중교통체계 개편 후 도내 전체 버스 대수와 노선 수, 운행횟수 등이 늘어난 것에 비해 버스 이용객은 늘지 않았다.

제주도의 성과 분석에 따르면 개편 전후 버스는 58.4%(548대→868대), 노선수는 117.9%(89개→194개), 하루 운행회수는 48.6%(4082회→6064회) 각각 증가했다. 반면에 대중교통 이용객은 지난 1~5월 기준 1일 평균 17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만2000명에 비해 11.8% 증가에 그쳤다.

지난 1년간 대중교통 개편에 1000억원 가량이 투입된 것치고는 사업 효과는 초라하다. 이에 따라 예산 효율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대중교통체계 개편으로 버스가 실핏줄처럼 지역 구석구석을 운행하고 있으나 손님이 없어 빈차로 다니는 차량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버스대수 및 노선 확대로 해당 지역 이용자들이 편해졌을지는 몰라도 물량의 과잉 투입으로 낭비적 요소가 발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중교통체계 개편이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당장 제주도의회는 올해 대중교통 관련 예산이 제주도 발표와 달리 1700억원을 초과하는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다. 제주도 예산서 기준으로는 버스준공영제 지원 등 대중교통체계 개편 시행을 위한 올해 예산은 1151억원이다.

어찌됐든 1000억원이 넘는 돈이 대중교통에 투입되지만 버스 이용자가 획기적으로 늘 것 같지는 않다. 이 사업이 도민들 신뢰 속에 추진되려면 효율성 측면을 무시할 없다.

대중교통체제 개편 후 버스 운행 실태 점검을 통해 이용자가 적은 지역에는 배차 간격을 확대 조정하는 등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