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 조치가 단계적으로 해제되고 있지만 중국발 크루즈선의 한국 입항 금지는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가 지난 22일 상하이 지역 일부 여행사에 방한 단체관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사드 보복’의 일환으로 지난해 3월 방한 금지령 이후 한국행 단체관광이 다시 허용된 지역은 상하이를 포함, 베이징과 산둥성, 우한·충칭시 등 5곳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이번에도 크루즈선 운항은 허용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제주 크루즈관산업의 위기는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이 크루즈 관광객 방한을 끊자 제주 크루즈관광 산업은 초토화됐다. 올해 들어 제주를 찾은 크루즈 관광객은 고작 9215명에 그쳤다. 2016년 연간 120만9106명에 비하면 급락한 수준이다. 이로 인해 도내 크루즈 관련 시설은 개점휴업 상태다.

문제는 사드 보복이 쉽사리 해소되지 않을 것 같아 이 같은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장 위기를 극복하기는 어렵겠지만 점진적으로 제주 크루즈산업의 내실을 다지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 다변화다. 크루즈시장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출항하는 크루즈선의 유치 확대가 시급하다. 대만과 일본, 홍콩지역 크루즈 유치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 마련도 요구된다.

또 크루즈관광의 질적 성장을 위한 상품 다양화와 기항지 관광 프로그램 활성화 등도 필요하다. 크루즈관광객들의 체류시간을 늘려 소비지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지역상권으로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최근 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크루즈관광 시장이 커지고 있다. 제주가 아시아 크루즈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당국의 분발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