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컨설팅 등 원스톱서비스

청년들 새로운 직종 창조하는 장(場)

 

여기 정책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가 있다.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영유아, 한부모 자녀 등등. 필자가 나열한 대상들에 대해 별도의 수당을 지급한다거나, 복지서비스를 설계하고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청년’을 포함시킨다면? 물론 현재는 N포세대, 흙수저론 등 청년세대의 어려움이 워낙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청년정책의 추진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는 분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옛 속담을 예로 들며 청년들의 나약한 엄살로 치부하기도 하며, 청년세대들이 장애인이나 65세 이상 노인과 함께 별도의 정책적 지원이 대상인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분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청년정책에 대한 상충적 시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중요한 것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냐, 하지 않느냐라는 논쟁보다는 정책적 지원을 하되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이냐의 고민이라고 본다. ‘열심히 하면 된다’는 것이 공채 비리 등 소위 빽있는 일부가 기회를 채가는 현실에서 청년들에게만 ‘노오오오력’ 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의회에 첫 발을 내딛은 2014년부터 제주 청년들의 현실에 관심을 갖고 청년정담회(靑年情談會)를 기획하여 청년 당사자들과 꾸준히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2016년 제주에 첫 청년 대상 조례인 ‘제주특별자치도 청년 기본 조례’를 제정하였다. 이후 여러 정책들이 ‘제주형 청년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다.

청년정책이 시작된 시기를 감안할 때 제주자치도의 청년정책은 비교적 빠르게 자리 잡았다고 자평한다. 기본 조례 제정 이후 바로 설치된 청년정책 부서는 민선 7기에 청년정책담당관으로 격상되면서 제주형 청년정책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될 것으로 본다.

확대될 청년정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제주청년이 살아할 미래, 즉 4차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시대, 그리고 다양성의 시대를 고려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기존의 행정에서 정하는 대로 하향식(top-down)방식에서 탈피하여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필자가 여러 청년당사자와 의논한 결론은 청년들이 자유롭게 놀며 의논하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직종을 창조하는 장, 즉 플랫폼 또는 매커니즘을 만드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현재 운영 중인 청년다락의 연간 이용인원은 1만명으로, 여기에 찾아온 청년들이 단순 공간 이용에 그치지 않고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아내는 기회가 되고, 또 행정에서는 이들을 활용하여 정책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점을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최근의 용어를 빌려 ‘청년플랫폼’이라고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스터디 하러 왔다가 청년정책의 내용을 알게 되고, 비슷한 생각을 하는 친구들을 만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행정에서 제공하는 컨설팅과 유사 분야 멘토의 조언도 받을 수 있는 모든 것이 한 공간에서 원스톱서비스로 추진되는 장(場)이 플랫폼이다. 서울의 청년허브, 무중력지대, 청년교류공간 등이 이러한 플랫폼의 일종으로, 실제 청년들의 호응도가 높은 것이 사실이다.

제주의 청년플랫폼은 현재 설립·운영 중인 제주청년센터의 기능 강화와 활성화를 통해 충분히 가능하다. 청년센터 설립으로 그 단초는 만들었으나 그 기능을 강화하여 실제 청년들의 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할 때이다.

청년들이 모일 장을 만들고, 그들이 필요에 의해 요청하는 자원을 지원하는 것이 오래 걸리지만 청년들의 자생력을 키우는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