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노후 대비 ‘선택 아닌 필수’

개인연금 활용 노후자금 확보 필요

 

시그널(signal). 가까운 장래에 어떤 일이 벌어 질 것이란 신호. 통계청 ‘2017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노령화에 대한 부정적 시그널을 준다. 세종시를 제외하곤 전국 시·도의 고령화율이 모두 상승한 결과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고령화율은 14.2%을 기록했다. 2016년 13.6%에서 0.6%포인트 오르면서 사상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이다.

유엔(UN)은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가 14%을 넘으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규정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 처음으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했으며 이번 결과로 17년만에 고령사회로 접어들게 됐다.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기까지 24년(1970~1994년)이 걸린 일본보다 7년이 빠르다. 인구변화에 대한 시그널에 위기감이 감돈다.

제주는 어떨까. 전남 고령화율은 22%로 초고령사회가 시작된 지 이미 오래다. 전북·경북의 고령화율도 각각 19%로 상승하면서 초령사회 진입을 코앞에 두게 됐다. 강원도(18%), 충남(16.9%), 부산(16.3%), 충북(15.7%), 경남(15%), 그 뒤를 이어 제주는 14.5%다. 제주인구 9만3천여명이 65세 이상이다. 2040년에는 26만1천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32.65%를 차지하게 돼 제주 인구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에 함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소득이 줄거나 없어지는 것이다. 노후소득이 노후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기 때문이다.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노후소득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65세 은퇴를 하더라도 100세까지 살 경우 35년간의 생활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노후 대비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다.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반면 일본 노인의 삶은 일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매우 풍요롭다. 그 비율은 64.6%에 이른다. 놀라운 것은 고령가구 소득의 약 68%가 공적연금을 통해 들어온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연금제도가 성숙하지 못해 고령층의 연금소득이 매우 미약하다. 결국 우리나라는 일본과 달리 공적연금만으로 연금라이프를 기대하기 어렵다.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낮고 보험 가입기간이 짧아 지급되는 연금액이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제적 어려움 없는 연금라이프를 즐기고 싶다면 젊었을 때부터 개인연금을 적극 활용해 부족한 노후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또 하나의 고민은 ‘유병장수’다. 고령화와 함께 의료기술의 발달로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 늘어나면서 노인의료비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60대 이후부터 의료비가 급속히 늘어나 부모뿐만 아니라 자식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나중에 아픈 부모님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면 자신의 노후의료비 준비에 미흡한 부분이 없는지 살펴보는 것은 물론이고 부모님의 건강과 의료비 준비 상황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부모님이 아직 건강하다면 큰 병을 얻고 나서 의료비를 지원해드린 것보다 지금 부모님이 가입할 수 있는 보험상품을 알아보고 보험료를 지원해드리는 편이 훨씬 현명하다.

“긴 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있다. 준비가 소홀한 채 부모님 건강이 나빠지면 부모님의 의료비 지원하랴, 본인의 노후 준비하랴, 자녀 양육하랴 가정경제에 무리가 올 수밖에 없다. 과도한 의료비 부담을 이기지 못해 ‘메디 푸어(Medi poor)’가 되지 않으려면 부모님도, 나도, 내 자녀도 언제가 맞게 될 유병기간에 지금부터 철저해 대비해야 한다.

고령사회에 감도는 시그널, 그 파괴력은 어느 날 갑자기 온다. 대비하자.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