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JDC 공동 기획
‘도시의 미래, 스마트시티를 가다’
<4>한국의 스마트시티 어디까지 왔나

 

 

 

 

 

 

 

 

 

 

 

기후변화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교통, 환경, 주거 등 많은 분야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 역시 피해갈 수 없는 문제로 다가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수정계획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시행계획을 통해 ‘제주 스마트시티 조성 계획’을 확정했다.
미래세대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도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도입 필요성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조성 사례를 살펴보고 미래 신산업 분야 개척에 필요한 사항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정부,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추진
설계 단계~시공까지 주요기술 대거 적용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구성 조성 박차
한국의 스마트시티 사업은 200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3년부터 초기형 스마트시티사업인 유비쿼터스 시티(U-City)가 그것이다. 이를 통해 지능형 교통시스템 등을 해외에 수출 했을 뿐만 아니라 2008년에는 세계 최초로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유비쿼터스 시티와 스마트시티는 개념적으로 보면 큰 차이는 없지만, 설계의 방향, 그동안의 기술 발전과 환경 변화에 따른 실제 구현 여부, 이에 따른 영향력 정도가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유시티는 단순히 ICT와 건축물의 조합, 기술 자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면 스마트시티는 신기술을 ‘시민의 삶’에 초점을 두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설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기존의 유시티는 사물인터넷과 모바일이 핵심기술이며, 정보의 공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스마트시티는 정보 공유 외에도 그 정보를 활용해 실질적으로 인간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50여개 지자체에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H는 40여개 지구에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지난 1월 4차산업혁명위원회 회의를 개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위원회 산하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를 구성, 스마트시티 분야별 전문가 및 6개 유관부처(국토부, 기재부, 과기정통부, 행안부, 산업부, 환경부)가 함께 스마트시티 정책 로드맵을 심도 있게 검토해 온 결과다.

▲7대 혁신변화 및 3대 전략 실행
우선 그간의 기술 중심의 단편적 접근, 공공주도의 스마트시티(U-City) 정책에서 벗어나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민간기업·시민 등 다양한 수요자가 참여하는 사람 중심의 열린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스마트시티 7대 혁신변화’를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도시성장 단계별 차별화된 접근, 도시가치를 높이는 맞춤형 기술 접목, 민간기업·시민·정부 주체별 역할 재정립이라는 ‘3대 전략’을 실행키로 했다.

공공기관 주도로 향후 5년간 조성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에는 도시설계 단계부터 시공까지 스마트시티의 주요기술을 대거 적용하겠다고 했다.

또 차세대 네트워크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미래 선도기술을 이용하는 편의시설과 자율주행, 스마트그리드, 가상현실 등 첨단 스마트시티 기술을 집중적으로 구현하고 이에 대한 실증과 상용화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우선 세종 5-1 생활권에는 에너지와 교통을, 부산 에코델타시티에선 수변도시와 국제물류의 연계성을 기본으로 다양한 생활체감형 스마트시티 기술을 구현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함께 지방 혁신도시에도 스마트시티 기술을 본격 접목키로 했다. 초기 신도시인 혁신도시를 스마트시티 지역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의 특징을 살린 ‘스마트 혁신도시 선도모델’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국가 시범도시에는 4차 산업혁명의 모든 기술과 서비스가 자유롭게 구현되고, 민간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키로 했다.

이 외에도 스마트시티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 예산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해외 진출을 위한 글로벌 협력 강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정부의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추진 계획 발표로 스마트시티 구현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현재 5G, 사물인터넷, 모바일 관련 정보통신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조만간 5G 서비스가 상용화되면 교통, 공공안전, 에너지 등의 서비스가 원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목된다. 스마트 시티에서 정보통신기술은 핵심기술이기 때문이다.

국내 통신사인 SK Telecom, KT, LG 유플러스가 5G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이유다.

5G는 기존의 4G(LTE: Long Term Evolution)보다 한 단계 올라간 기술 발전이지만 반응속도는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데이터 속도로 따지면, 4G에 비해 20배나 빨라진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하나의 예를 들면 150km로 주행하는 차에 4G를 통해 정지 명령을 내리면 1m 주행 후 브레이크를 밟기 시작하는데, 5G의 경우 8cm 주행 후 브레이크를 작동한다고 것이다.

스마트 시티는 인간의 안전과 직결된 과학 기술이 많기 때문에 무선 통신에 대한 반응 속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밝히고 있다.

도시 전체가 그물망처럼 촘촘히 연결되는, 스마트시티가 다가오고 있다. 한국이 스마트시티를 선도해 나갈 수 있을지 귀추가 모아진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