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JDC 공동 기획
‘도시의 미래, 스마트시티를 가다’

<7> 스마트시티 선도하는 유럽

기후변화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교통, 환경, 주거 등 많은 분야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 역시 피해갈 수 없는 문제로 다가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수정계획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시행계획을 통해 ‘제주 스마트시티 조성 계획’을 확정했다.
미래세대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도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도입 필요성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조성 사례를 살펴보고 미래 신산업 분야 개척에 필요한 사항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EU, 2013년 ‘스마트시티 및 커뮤니티 혁신 파트너십 전략 실행 계획’ 발표
스마트시티는 기후변화, 환경오염, 도시화에 따른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자연친화적인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한 미래의 지속가능한 도시다.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특히 EU는 2013년 스마트시티 솔루션 개발을 목적으로 에너지, 운송, ICT 3개 분야에서의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시티 및 커뮤니티 혁신 파트너십 전략 실행 계획’을 내놓으며 한 발 앞서나가고 있다.

실행 계획은 지속가능한 도시 이동성, 지속가능한 지역 개발, 에너지·운송·ICT 인프라의 융합 등 3개 부분을 중심으로 추진키로 했다.

우선 지속가능한 도시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범위한 운송 분야에 적용 가능한 통합 스마트시티 솔루션 개발 △시사점 제공이 가능한 모범적인 교통 시스템 모델 개발 △상향식 접근을 통한 시민 아이디어 확보 등을 들었다.

또 지속가능한 지역 개발을 위해서는 △에너지 생태계 평가 도구의 개발 △산업계와 도시 운영 주체 간 목표 공유 △기존 건물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저렴한 스마트 솔루션 개발 △에너지 관련 정보 모니터링 도구 개발 등을 제안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와 함께 에너지·운송·ICT 인프라의 융합을 위해서는 △모범 사례 발굴 △표준 아키텍처 개발 △인프라 융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해결책 마련 등을 요구하는 내용으로 분류했다.

EU는 영역별 전략 실행 계획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제반 사항 확보 역시 필수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시민 참여 규제 개선 등 스마트시티 구축에 최적화된 의사결정프로세스 수립을 제시했다.

아울러 지식 공유·성과 지표 개발 등 스마트시티 구축과정에 있어 통찰력 제공, 재원 확보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도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현재 30여개국의 2500여 파트너가 도시 교통, 오픈데이터, 비즈니스모델, 금융, 정책, 에너지 등 다양한 영역의 350여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연구 주체는 정부·공공(33%), 민간기업(29%), 학·연 기관(16%) 등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프랑스, 네덜란드 등 신기술 집약 도시 조성
특히 유럽 내 주요 도시들은 자체적인 스마트 시티 구축 노력을 이어가며, 주목받고 있다.

우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시는 2004년 ‘I amsterdam’이라는 브랜드를 설정하고 추진하고 있다. 기반시설과 기술, 에너지·물·쓰레기, 교통, 순환도시, 거버넌스와 교육, 시민과 생활, 스마트시티 아카데미 등 7개 테마를 중심으로 암스테르담 전역에서 200개 이상의 개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시는 편리하고 창의적이며, 효율적이고 재미있는 도시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특히 2005년~2015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 줄인데 이어 2025년에는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목표까지 설정했다.

핀란드는 헬싱키 도심 인근에 폐 항구였던 ‘칼라사타마’를 2030년까지 자율주행 전기차, 스마트그리드 등 신기술이 집약된 스마트시티로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전체면적은 1.8㎢로 분당 신도시의 10분 1 규모다.

프랑스는 파리의 14구인 이시레몰리노시에 위치해 있고 군사요새였던 ‘Fort d'Issy’를 친환경 스마트 주거단로 개발했다. 단지는 스마트시티와 친환경 도시농업 개념이 적용됐다.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쓰레기 진공수거시스템, 공유형 전기자동차, 전기버스 등 스마트기술이 집적돼 실현됐다.

특히 건물의 냉·난방은 기후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며, 단지 외곽을 형성하는 요새의 성벽 상단과 단지 곳곳에는 조경뿐만 아니라 공용 텃밭 등이 조성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시티 비전에 대해 세계 여러 사례 중 유럽형 스마트시티가 한국형 스마트시티 구현에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시티 구현은 ‘시민주도’로 시민이 적극 참여해 만들어가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시민이 중심이 되는 도시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통, 환경, 안전 등의 문제를 해소하며 삶과 일, 여가 등이 동시에 공존하는 공간으로 스마트시티가 조성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