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교육청, 어제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방안 토론회’
박동국 서울 도봉구청 교육정책특보, 지자체 책무 강조

▲ 3일 제주도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제주도의회, 제주도교육청 공동 주최로 마을교육공동체활성화방안마련토론회가 열린 가운데 서울시 도봉구청 박동국 교육정책특보가 강연하고 있다. 문정임 기자

읍면동별 설립 의무화된 청소년문화의집 태부족 지적도

스마트 폰과 PC게임에만 몰입하는 아이들, 학교가 힘든 교사. 행복한 학교를 위해 공동체는 무엇을 고민해야 할까.

가고 싶은 학교 살고 싶은 마을이 되기 위해서는 아이들의 방과후 돌봄을 마을(지역)이 함께 고민하고 손을 보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제주도의회와 제주도교육청 공동 주최로 3일 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서울시 도봉구청 박동국 교육정책특보가 도봉구의 혁신교육지구 운영 경험을 토대로 이 같이 제안했다.

혁신교육지구란 일종의 마을교육공동체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삶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와 마을이 아이들의 배움 활동을 돕는 자치구다. 이곳에서는 지역사회의 시설과 인적자원을 촘촘히 엮어 방과후학교를 대체할 마을지원체제를 구축한다. 다시말해 학교는 정규교육과정을 맡고, 하교 후 아이들의 활동은 마을에서 관여하는 체계다.

이날 박동국 교육정책특보는 “지난 여름 태풍 솔릭으로 많은 학교가 문을 닫았을 때 정작 대박이 난 곳은 PC방이었다”며 “그만큼 우리 아이들이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이 열악하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 교사들은 교육에만 집중할 수 없는 여건으로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며 “잘 만든 마을교육공동체 하나에는 우리 사회의 여러 위기요소들을 해소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설명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기반 시설로서 도내 청소년 문화의 집이 보강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청소년활동진흥법은 모든 읍면동에 청소년문화의집을 설치하도록 의무화했지만 도내 43개 읍면동 중 청소년문화의집은 21개소에 불과하다.

박 특보는 “우리나라는 3500개 읍면동 중 청소년문화의집이 258개에 불과하지만, 독일은 전체적으로 1만 6000여개, 읍면동별로는 한 곳당 4.57개의 청소년 문화시설이 있다”며 “이는 삶의 질과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 등 여러 면에서 매우 큰 차이를 의미한다”고 전했다.

박 특보는 “학교로만 가중되는 현행 방과후학교 시스템은 학생과 교사의 에너지 소진을 부추길 뿐 누구의 행복도 담보하지 못 한다”며 “학생임에 앞서 지역의 소중한 주민인 우리 아이들을 위해 지자체가 앞장서서 지역의 문화체육예술시설을 활용하고 우수한 강사진을 발굴해 방과후활동 종합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도의회 김장영 교육의원과 강성민, 김황국, 김창식, 김희현, 문종태, 이상봉, 이승아, 정민구, 홍명환 의원이 함께 했다. 박동국 교육정책특별보조관이 ‘마을교육공동체로 가고 싶은 학교, 살고 싶은 마을 만들기’라는 주제로 학교와 마을의 다양한 협력 사례를 발표했고, 시흥시행복교육지원센터 박현숙 교사가 경기도교육청과 시흥시 간 협력 모델과, 지자체-교육청-학교 간 협업의 성과를 공유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