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미래다’ 제주바다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
<1> 청정 바다 위협하는 해양쓰레기

청정을 자랑하던 제주인의 삶의 터전인 제주 바다가 각종 해양쓰레기로 인해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는 사실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여름철 대량 발생하는 모자반을 비롯해 육지부, 심지어 해외에서 밀려오는 해양쓰레기로 인해 제주 관광 이미지마저 실추되고 있다. 해양쓰레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고,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에 대한 해외 선진 환경정책과 시스템을 발굴 소개하고, 제주 여건에 맞는 최적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해양쓰레기 증가로 인한 바다 환경 훼손의 문제점을 알리고, 바다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대한 도민 공감대 확산과 함께 청정바다를 지켜나가기 위한 도민들의 자발적 참여의식 조성 등을 6회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1> 청정 제주 바다를 위협하는 해양쓰레기

해양쓰레기는 사람이 살면서 생긴 모든 부산물로써 바다로 들어가 못쓰게 된 것을 말한다. 해양쓰레기는 근본적으로 육지의 쓰레기와 다르지 않다. 육지에서 바다로 들어갔건, 바다에서 버려졌건 사람이 사용하는 모든 물건, 도구, 구조물 등이 해양쓰레기가 될 수 있다.

제주바다는 대한민국 관할 수역의 24.4%(11만4950㎢)를 차지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러시아 중국 등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동북아시아의 최고의 요충지다.

또 제주는 청정한 환경과 깨끗한 바다가 공존하는 동북아시아의 중심지로, 해양생물종 다양성의 보고(어류 612종, 해조류 522종, 저서동물 670종)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제주해녀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바다가 제주인의 삶과 문화의 일부이기도 했다. 최근에는 동북아 크루즈산업의 중심지로, 마리나산업의 최적지로 각광받고 있다.

제주바다는 도민들이 살아가는 터전이자 국부의 원천이다. 이러한 제주바다는 소중한 자산으로 우리 후대 세대들에게 물려줘야 할 유산이지만 해양쓰레기로 인해 지속가능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제주 바다를 슬기롭게 이용하고, 잘 가꾸고, 바르게 보전하기 위한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 지난해 제주 해양쓰레기 1만714t수거…플라스틱 비중 높아 환경오염 우려

지난 10월 11일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국회의원(충남 천안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5년 6만9129t, 2016년 7만840t, 2017년 8만2175t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제주도는 2015년 1만3283t, 2016년 5403t, 2017년 1만714t을 수거했으며, 다른 지자체도 매년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유입원이 다양하고 발생 구역이 광범위해 전수조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해안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안 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 결과 플라스틱 쓰레기의 비중은 전체의 47.2%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해양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양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위험한 이유는 이들 쓰레기가 마모되고 파손되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돼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밥상으로 올라와 결국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최근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이 대두되는 등 그 위험성에 대해 국민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고 해양쓰레기 수거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 미세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밧줄, 낚시줄, 그물, 각종 포획용 어구들은 직접적으로 해양생물의 목숨을 위태롭게 해 멸종위기 해양생물군에게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 제주 전국 최초로 바다지킴이 제도 운영하나 인력충원 등 행정적 지원 절실

청정 제주 해안이 해안쓰레기로 몸살을 앓으면서 제주도 당국은 해양쓰레기 수거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지만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해양쓰레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청정제주 해안을 지키기 위해 지난해 전국 최초로 ‘청정 제주바다지킴이’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해양쓰레기 수거업무 이외 해안변(공유수면) 무단훼손 행위 감시 및 대조기 해수면 상승 대비 위험지역 사전통제 등 해안지역 안전관리 업무에도 힘쓰고 있다.

제주도가 지난해부터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 제도를 운영하며 문제가 상당히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아직 역부족인 상태다. 예산문제로 인력이 한정돼 있어 수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지가 지난 10월부터 11월까지 제주시 관내 바다지킴이를 동행 취재한 결과 이런 문제점들이 여실히 드러났다.

해안가에는 파도에 떠밀려온 생활쓰레기를 비롯해 프라스틱과 스티로폼, 부표, 어구 등의 해양쓰레기가 쌓여 있었다. 또 인근 공사장에서 나온 판넬 조각과 목재, 건축폐기물도 해안가에 널브러져 있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었다.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들은 “주 5일 해안가를 순회하며 쓰레기를 줍고 있는데 그 발생량이 엄청나다”며 “담당해야 할 범위는 넓은데 수거에 애를 먹고 있다”며 인원 확충 등의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제주도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해안변 해양쓰레기의 완벽한 처리를 위해 상시 모니터링과 수거, 중간 집하, 재활용 선별 등 발생부터 처리까지 원스톱 수거 처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