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바다는 맑고 깨끗한 ‘청정’의 대명사였다. 어류 612종과 해조류 522종, 저서동물 670종 등 ‘해양생물종 다양성의 보고(寶庫)’이기도 하다. 또 제주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바다는 제주인의 삶과 문화의 일부이기도 했다.

이러한 제주바다가 최근 해양쓰레기로 큰 몸살을 앓고 있다. 향후 지속발전 가능성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물론 이는 전국적인 현상이기는 하나, 제주에서 바다가 가지는 상징성을 감안하면 다른 지역보다 그 폐해가 더 크다.

올해 국정감사 자료에 의하면 전국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5년 6만9129t에서 2016년 7만840t, 2017년 8만2175t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제주도 역시 2015년 1만3283t에 이어 2017년 1만714t을 수거했다. 이는 수거에 따른 물량일 뿐이지, 인력 부족 등으로 미처 수거하지 못한 쓰레기는 더 많을 것으로 여겨진다.

가장 큰 문제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비중이 전체의 47.2%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 같은 수치는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해안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안 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 결과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양오염의 주범’이다. 이 쓰레기는 마모되고 파손되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한다. 그리고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우리들의 밥상으로 올라와 결국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플라스틱과 함께 밧줄이나 그물 등의 각종 포획용 어구들도 해양쓰레기의 다수를 점하며 해양식물군에게 큰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감안한 제주도가 해양쓰레기 수거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태다. 해양쓰레기 문제는 단순한 쓰레기 수거가 아니라, 후손들에게 물려줄 해양유산 보호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 ‘청정바다’를 잃으면 제주의 미래 역시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