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에도 청렴은 우리사회 곳곳에서 크고 작은 형태로 이슈가 됐다. 공공기관의 채용 비리를 비롯해 사립 유치원 비리 사건까지 공과 사를 가리지 않고 우리는 ‘청렴하지 않은’ 사회에 분노했고 무력감마저 느꼈다.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 2년이 지나고 어느 정도 사회 전반적으로 ‘부탁하지 않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했던 나 또한 연일 보도되는 부도덕한 뉴스에 눈살을 찌푸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청렴이 가장 중요시 되어야할 공공기관에서 권력자의 이익에 따라 누군가의 채용합격을 불합격으로 만들기도 하고, 유치원에서는 아이들의 따뜻한 밥을 지을 돈으로 원장의 명품백을 구입하는 실상에 우리사회에 대한 배신감을 느꼈다.

사실 그동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서는 청렴한 공직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해왔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002년부터 공공기관별 청렴도를 측정해 공표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청렴감찰관, 청렴옴부즈만 등의 형태로 내부 청렴을 지속 관리하고 있다. 또한, 공직자의 청렴 교육은 물론이고 청렴 워크숍, 공모 등 청렴하고 도덕적인 공직사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청렴기준에서 절대적인 부패에서 조금 벗어난 정도의 평가를 받고 있다. 사회문화적으로 연고주의, 온정주의 등의 관행이 아직도 깊숙이 스며들어 있고 사회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깊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공직자인 우리가 해야하는 일은 도민들로부터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다. 홍콩이나 싱가포르처럼 정권이나 정책의 변화에 상관없이 부패하지 않은 공직사회를 위해 20년이든 30년이든 지속적으로 나아가야한다. 단기간의 결과물에 휩쓸리지 않고 인내심을 가지고 신뢰를 먼저 회복한 후에야 진정으로 믿을 수 있는 청렴한 공직사회가 만들어지리라 생각된다.

나부터 공직자로서 갖춰야할 청렴한 자세를 잃지 않으리라 다짐하며 다가오는 2019년 기해년에는 올해보다 한걸음 더 도약하는 청렴사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