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는 현실의 반영이다. 누구나 그렇게 알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뉴스를 있는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되는 시대가 됐다. 언론은 자신의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지식을 경험케 해 주는 유용한 뉴스를 생산하고 유통한다.

이러한 뉴스의 생산 과정에 앞서 언론은 뉴스의 진실성, 공정성, 정확성 등에 대한 게이트키핑 과정을 거친다. 뉴스의 원천인 정보와 취재원의 사실 확인의 일차적 역할은 기자가 맡는다. 그 뒤로 각 부서 데스크, 편집국장 등의 게이트키퍼가 존재한다. 그래서 나름대로 사실 확인을 거친 현실을 반영한 뉴스가 보도된다. 즉 뉴스 소비자들은 전문가들에 의해 사실 확인을 마친 뉴스를 접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가짜뉴스(fake news)의 시대이다. 가짜뉴스는 허위 사실을 진짜 뉴스로 포장한 것이다. 언론사로 속이거나, 언론기사처럼 생산되어 유통되고 소비된다. 심지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언론 역시 가짜뉴스를 만들어 낸다. 더구나 그럴듯한 의혹을 만들어내는 가짜뉴스는 우리 사회에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만 받아들이는 확증편향을 확산시켜 그 폐해는 가늠조차 어렵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SNS의 확산은 이 같은 가짜뉴스를 더 범람하게 만든다. 예로 광주 5·18민주화운동에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정보는 분명히 잘못됐음에도 모든 나이 대에서 10% 내외가 사실로 믿고 있다. 오래된 잘못된 정보임에도 수정이 안 될 뿐만 아니라 SNS로 수없이 떠돌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8 지방선거 동안 적발된 가짜뉴스는 2만5000건이 넘는다. 이 가운데 특정 후보의 낙선을 목적으로 한 허위, 비방을 담은 가짜뉴스는 4500여건으로 4년 전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고 한다.

뉴스의 형식을 갖춘, 정교하게 공표된 허위 정보라고 할 수 있는 가짜뉴스는 2017년 미국 대선을 기점으로 논란이 커졌다. 뉴욕타임스가 ‘가짜뉴스와의 전쟁’이란 표현까지 쓸 정도로 가짜뉴스의 영향력은 컸다. 한국에선 탄핵 국면이 시작되면서 기승을 부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가짜뉴스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지시할 정도다. 문 대통령은 1월 8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정부 정책을 부당하게 또는 사실과 다르게 왜곡하고 폄훼하는 가짜뉴스 등의 허위정보가 제기됐을 때는 초기부터 국민께 적극 설명해 오해를 풀어야 한다”면서 “가짜뉴스를 지속적으로, 조직적으로 유통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단호한 의지로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흥미나 오락적인 요소를 갖고 있지만 최근 논란이 된 가짜뉴스들은 대부분 정치적 목적에 의해 생산됐다. 그러다 보니 허위 사실 유포에 해당한다. 허위 정보로 인한 명예훼손은 생산자뿐 아니라 모르고 전파한 사람까지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

그래서인지 요즘 언론에는 ‘팩트체크(사실확인) 열풍’이 불고 있다. 미확인된 가짜뉴스가 난무하는 뉴스 시장에서 새로운 뉴스검증 모델이 시험받고 있다. <JTBC>·<채널A>·<TV조선> 같은 종합편성채널에서 ‘팩트체크’ 프로그램이 있고, <SBS>는 ‘사실은’, <경향신문>, <한겨레>도 팩트체크를 운영하고 있다.

제주 역시 가짜뉴스에 대응하기 위한 팩트체크가 이뤄져야 한다. 가짜 뉴스는 지난해 500명이 넘는 예멘인이 5개월 만에 제주에 몰리자, 난민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졌고 중동 국가 문화가 국내에는 생소한 점 등으로 인해 가짜뉴스가 대거 양산됐다. 또 최근 정의당 제주도당이 제주도정의 요구로 서귀포시 동홍·토평동 마을 주민들이 ‘영리병원 개설 환영’ 기자회견을 가졌다는 의혹을 제기한 가운데, 동홍·토평동 마을회장이 “가짜 뉴스로 갈등을 부추긴다”며 이를 반박하기까지 했다. 

팩트체크가 제대로 이뤄지려면 하나의 언론사가 감당할 수 없는 과업이라 언론사들의 협업이 필요하다. 또 기자가 사실에 근거해 기사를 쓰면 일반 참여자가 사실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크라우딩 기법의 도입이 시급하다.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기자들이 저널리즘에 충실하고, 강자에 가려진 절반의 진실을 밝혀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드는 데 힘을 보태야 한다. 그게 기자의 임무이고, 저널리즘의 기능이다. 언론을 ‘공기(公器)’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