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블록체인’이나 ‘비트코인’이란 용어를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가상화폐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장부다. 당초 비트코인(Bitcoin) 거래를 위한 기술로 개발됐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신뢰성 등 보안기술의 새로운 집약판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들어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등의 기술과 융합되어 그 활용범위를 넓혀가는 중이다.

 지난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향후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10대 기술로 ‘블록체인’이 선정되면서 금융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됐다. 포럼 참석자들은 설문조사에서 오는 2025년까지 전 세계 GDP의 10% 이상이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예견한 바 있다.

 제주자치도가 중점 추진하는 ‘블록체인 특구’에 대한 제주연구원의 경제효과 분석 결과가 지난주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블록체인 특구의 정책적 타당성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제주연구원의 ‘제주 블록체인 특구 조성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연구에 의하면 연간 1777억~2816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043억~1729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연간 3893명~7154명 수준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특구 조성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계획의 내용에 따라 그 규모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지난해 8월 ‘지역과 함께 하는 혁신성장회의’에서 국내외 블록체인 관련 기업 유치 및 가상통화 공개허용 등을 중심으로 한 블록체인 특구 지정을 정부에 건의했다. 10월에 열린 블록체인 특구 추진현황보고에선 원희룡 지사가 “블록체인 특구는 제주에 와서 프로그램을 만들라는 게 아니라, 법인의 본적을 제주에 두면 제주특별법에 따라 ICO(암호화폐) 발행이 가능해진다”고 특구 조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제주 전역을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하려는 것에 대한 도민 공감대가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블록체인에 대한 장단기적인 로드맵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난 다음 이를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블록체인 특구는 제주의 신(新)동력이 될 수도 있지만, 현재로선 그 어느 것도 장담할 수 없다. 블록체인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도민 공감대를 형성하는 게 무엇보다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