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책연구실은 제주의 주요 농산물 생산액 추이와 전망, 제주농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조사한 '제주농업 현황과 정책보완과제' 보고서 '정책차롱' 제1호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감귤과 월동무, 당근, 양배추 등 제주의 주요 농산물 판매가격이 대체로 약세(2019년 상반기)를 보여 단기적으로 농가소득의 불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9년 농업전망 자료에 따르면 월동무 재배면적은 지난 7년간 10배 이상 증가한 6275㏊로 기존 저장량과 함께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20% 증가한 34.9만t이 예상되며, 겨울양배추(만생종 제외)와 배추도 각각 18.4만t과 33.6만t으로 18%대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9년 농업전망 자료를 살펴본 결과 월동무의 경우 재배면적이 지난 7년간 10배 이상 증가한 6275ha로 기존 저장량과 함께 생산량이 작년에 비해 20% 증가한 34.9만톤, 겨울양배추(만생종 제외)와 배추의 경우에도 각각 18.4만톤과 33.6만톤으로 18%대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겨울당근의 경우에도 도매가격은 수입증가에 따라 작년보다 가격 하락세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더욱이 제주농가의 부채 규모는 6523만원으로 전국평균보다 2.5배나 높고, 농업경영비는 4235만원으로 전국평균보다 2.1배나 높은 상황(통계청, 2017 농가경제조사)에서 농산물가격 약세로 농가수지 개선이 지연되면 제주농가의 생산 기반이 크게 약화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도의회는 단기적으로 제주 농산물가격 안정화 정책으로 △제주 주요 농산물의 우수성에 대한 체계적인 홍보 △마케팅을 강화해 제주 농산물에 대한 수요 진작과 시장 확대 △제주형 밭작물 관측시스템을 정교화해 사전에 농산물 생산량 조정을 통한 적정한 농산물 생산시스템 구축 △제주형 자조금 사업 활성화을 위한 마중물 정책을 강화로 자조금 사업의 저조한 참여율을 감안해 제도정착을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 △자조금 활성화를 통해 농산물생산자 스스로가 농산물가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중기적으로 제주형 재해보험제도가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재해관련 세부 통계 DB를 세밀하게 구축 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아열대성 기후대 진입 기미)에 따른 스마트팜 사업 확대, 친환경성 및 기능성 농산물 생산 확대 등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소득 작물을 발굴하고 기존의 농산물 고부가가치화 정책을 가속화할 것을 당부했다.

도의회 관계자는 "농가소득 안정을 위해 무엇보다도 공급과잉에 따른 제주의 주요 농축수산물 가격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시급하다"면서 "제주도와 머리를 맞대고 제주 농산물의 우수성을 홍보해, 제주산 농산물 시장을 넓혀나가는 한편, 제주형 밭작물 관측시스템의 정교화와 제주형 자조금사업 활성화로 사전적 혹은 사후적으로 농산물 생산수량 적정화를 유지시키는 등 농산물 가격안정화 정책을 차질 없이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