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대란 대비 대체버스 600대 투입
하루 비용만 3억7천만원 예산 소요
도민 부담 가중 우려…道 ‘수수방관’

파업선언 직후 허문정 제주도 대중교통과장과 노조측이 대화를 이어갔다

 

제주 8개 버스회사 노조 전면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제주지역자동차노동조합은 지난 8일 파업을 선언한 이후 제주도측과 대립각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지난주 노동조합측은 “노조원 투표를 통해 파업이 결정된 후 사측과 1회, 제주도와는 2회 접촉을 시도했고 구제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아 전혀 진전이 없었다”고 밝히고 있다.

도는 노조와의 절충안을 명확히 내놓지 못한 채 파업에 대비한 긴급수송대책만을 내놓고 있다.

이번 파업에 참여하는 제주연합버스노조는 △삼화여객 △금남여객 △동서교통 △삼영교통 △동진여객 △극동여객 △제주여객 △관광지순환버스 등 8개 회사가 소속돼 있다.

파업선언 직후 허문정 도 대중교통과장이 노조를 방문해 조경신 위원장과 협상을 시도했다. 당시 김승필 삼영교통노동조합 위원장, 양경호 한노총지역본부사무처장이 동석했다.

30분간의 짧은 협상 끝에 허 과장은 “노조측의 요구사항은 잘 알고 있다. 본디 노사가 합의해하는 과정이지만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도가 마무리 지으려고 한다”며 “주말에 다시 만나 대화를 이어갈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현장에 있던 노조원들은 열악한 근무환경에 대한 고충을 토로했다.
노조원들은 "인간으로써 가장 기본적인 부분도 충족되지 못한다"며 "이번 투쟁을 통해 권리를 찾아가겠다"는 입장이다.
노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11차례 걸쳐 단체교섭을 벌였다. 그러나, 합의를 보지 못했고 파업이 가시화되기 시작한 지난주가 돼서야 제주도가 개입하기 시작했다.

현재 도는 예산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며 노조의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실제로 제주도의 대중교통관련 예산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해 왔다.
준공영제가 도입되기 전 2016년 대중교통관련 예산은 114억원이다. 이후 2017년 8월 준공영제가 도입되면서부터 328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데 이어 2018년에는 965억원, 2019년 924억이 편성됐다. 
1000억원 가까운 예산이 매해 버스운송사업에 투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측의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경우 도민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노조측에서 요구하는 바에 따라 근무일을 11일로 조정할 경우 420여명의 추가인력을 추가로 채용해야 한다고 도는 예상하고 있다. 버스기사의 연봉이 현재 4200여만원인 상황에서 추가되는 인건비는 176억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노조측에서 제시한 10.9% 임금인상을 수용할 경우 80억원 이상의 인건비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파업에 따른 교통대란을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도에 입장을 물었다.
도 관계자는 현재 “긴급수송대책으로 전 노선 665개에 대해 임시 수송버스를 준비해 놓았다"며 "예산은 하루에 3억 7000만원선에서 예비비에서 충당한다”고 했다. 이어 “그전에 협상을 완료해 파업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결국 현시점은 도가 노조원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느냐 마느냐를 떠나 도민의 부담이 가중될 상황에 이르렀다.
또한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도민들로부터 예산의 적절성을 이해받아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새로운 대중교통의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파업일까지 하루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극적타결이 이뤄질지는 의문이다. 그동안 도정의 수수방관으로 문제를 더욱 크게 키운 것은 아닌지 아쉬움이 남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