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재해자수 매년 증가세
지방노동청, 소극적 자세로 일관
근로자들,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제주 신광사거리에서 지난달 한라산 생태복원사업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크레인 전복사고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며 며칠째 불법 고공시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발생한 제주삼다수공장 근로자 사망사건, 가구제작업체 지게차 전복 사망사건 등 제주지역 내 산업현장 곳곳에서 재해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열악한 근로환경 및 안전불감증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나 현장을 관리하는 당국마저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어 근로자들이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제주지역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2016년 1207명(사망18명), 2017년 1297명(사망18명), 2018년 1315명(사망22명), 2019년 3월 기준 319명(사망7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2016년 629명, 2017년 709명, 2018년 517명, 2019년 3월 기준 119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추락 사고가 가장 많았다.

특히 건설업은 공사규모가 적은 건설현장일수록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공사금액별로 살펴보면 2016년 전체 재해자수 629명 중 219명(35%), 2017년 709명 중 236명(33%), 2018년 517명 중 201명(39%), 2019년 119명중 50명(42%)이 3억원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했고 같은 기간 내 전체 재해자수 중 45%가 5인 미만의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군다나 이들은 29일 이상 중대한 상해를 입는 경우가 평균 87%를 상회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산업재해를 관할하는 광주지방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산업분류별로 재해 현황이 다르고 도시별로 구분한 수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며 소규모 사업장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예방대책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실태파악 조차 못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할 기관의 안전 불감증이 산업현장의 재해를 강 건너 불구경 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