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제주도 천연동굴 보존관리방안 연구 및 조사’ 1차년도 학술용역 최종보고회를 오는 30일 개최했다.

 ‘제주도 천연동굴 보존관리방안 연구 및 조사’ 학술용역은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문화재청 지원으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개년 간 총 10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2019년도 1차년도 조사연구는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하류동굴계(만장굴~용천동굴) 구간을 중심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하수), 국립생태원(박쥐) 등 총 5개 연구기관, 총 35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여 약 9개월 여 간 진행됐다.

 1차년도 주요 연구결과를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하수는 만장굴 유출수와 주변지하수는 강수가 각각 11시간, 72시간정도 지연돼 투수성이 좋은 침투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밝혔냈다. 

 용천동굴 일부 유출수는 이보다 확연히 느린 반응 특성을 보이고 만장굴 유출수의 인위적 오염가능성은 없는데 반해, 김녕사굴과 용천동굴의 경우 유출지점별로 석회물질과 질산성 질소 함량이 큰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동굴 주변 발파진동의 전달 특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 한반도 육지부와는 상이한 거문오름용암동굴계 진동추정식을 새롭게 도출하는 데 성공했다.

 식생부분을 살펴보면 거문오름용암동굴계 일대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제주고사리삼, 황근을 비롯하여 희귀식물 검정개관중, 지느러미고사리, 해녀콩 등의 분포를 확인했다. 

  신창훈 한라산연구부장은 “2020년에는 자연자원의 관리와 보전에 적용 할 수 있는 각종 매뉴얼 및 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더욱 매진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