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하수준의 지역안전지수를 기록하고 있는 제주지역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활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핵심지표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행정안전부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는 지역안전지수는 6개 안전분야(화재, 교통사고,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를 대상으로 위해지표 및 상호 인과관계가 입증된 핵심지표를 사용해 산정한다.

 지역안전지수 공표가 시작된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5년간 제주지역의 분야별 지역안전지수를 살펴보면, 화재는 2017년(1등급)을 제외하고 모두 2등급, 자살은 2019년(4등급)을 제외하고 모두 2등급, 감염병과 교통사고는 각각 2등급과 3등급, 범죄와 생활안전은 모두 5등급을 받아왔다.

 제주지역의 평균 등급은 지난 2017년 2.71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4번째로 높은 순위에 오르는 듯 개선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후 2년 연속 하락해 지난해에는 3.5등급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4위에 해당하는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제주연구원은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주지역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현황과 향상방안’을 통해 제주지역의 지역안전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책을 제시했다.

 박 연구원은 제주지역의 생활안전 분야 핵심지표를 분석하고, 사고 발생 특성 등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지역안전지수를 구성하는 핵심지표 기반 관리체계 구축과 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정례화를 통한 환류 운영체계 마련 △안전 환경 및 수요가 지역마다 상이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사회 안전 실태 진단 및 맞춤형 안전개선사업 발굴 △생활안전 분야를 포함한 6개 안전분야(생활안전, 화재, 교통사고, 범죄, 자살, 감염병)에 대한 핵심지표 분석 및 지수 관리체계 구축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는 집, 가정에서의 상해·열상·중독 유형의 발생비율이 높음에 따라 일생생활 속 사고예방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지역안전지수가 지역사회의 안전도를 모두 나타낼 수는 없지만, 도민과 관광객의 안전 불안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도정의 관심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