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 잃는 추·윤 동반사퇴 카드  
징계위 앞두고 정치적 부담 커져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극한 갈등을 수습하기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선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윤 총장이 1일 법원 결정에 따라 업무에 복귀함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이제 징계위원회 등 강제적 방법을 통한 해결 외에는 출구를 찾기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문 대통령과 정세균 국무총리의 주례회동에서 언급된 윤 총장과 추 장관의 ‘동반사퇴’ 카드는 현재로서는 힘을 받기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다.

윤 총장은 법원 결정 후 곧바로 대검으로 출근해 “헌법정신과 법치주의를 지키고자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한 것을 보면 자진사퇴 의향은 없어 보인다.

추 장관도 마찬가지다. 법무부는 이날 문 대통령과 추 장관의 면담 후 “사퇴 논의는 없었다”고 공지했는데, 이는 물러날 뜻이 없다는 점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강제적인 방법이 동원되기 전에 자진 동반사퇴를 통한 ‘봉합’은 이제 힘들어졌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청와대는 윤 총장의 업무 복귀에 대해서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사법부 판단을 두고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 역시 징계위가 열리는 4일까지 공개 메시지를 자제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날 법원 판단으로 문 대통령이 느끼는 중압감은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징계위에서 해임이 결정될 경우 문 대통령은 재가 여부를 두고 고심에 빠질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런 극단적인 상황을 막기 위해 정치적 결단을 통한 돌파구를 모색할 수 있으리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일례로 정 총리가 추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를 하고 이를 매개로 윤 총장에게 다시 사퇴를 압박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 문 대통령이 추 장관과 윤 총장의 결단을 요구하는 공개 메시지를 내놓는 것을 검토해볼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법무부에서 어떤 징계안을 올리든 그대로 재가하는 방식으로 사안을 매듭지은 뒤, 추 장관 교체를 포함한 개각으로 분위기를 일신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연합]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