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국무부 라인 속속 충원  
3월 한미군사훈련 변수될듯

바이든 행정부 대북정책은 [연합]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을 맡는 외교·안보 진용이 점차 제 모습을 갖추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의회 인준을 받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을 비롯해 한미 관계와 대북 문제를 다룰 최고위급이 업무를 시작하고, 핵심 포스트도 속속 충원이 이뤄지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 외교·안보 라인의 특징 중 하나는 과거 한반도 문제를 직접 다뤄본 전문가들이 많다는 점이다.

백악관은 국가안보회의(NSC) 인선이 주목 대상이다. NSC를 총괄하는 국가안보보좌관은 제이크 설리번이 맡았다. 신설된 인도태평양 조정관 자리에 커트 캠벨이 임명된 데 이어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선임국장에는 에드 케이건이 선임된 것으로 알려졌다.

NSC는 경쟁 상대인 중국, 러시아를 비롯해 전세계 외교·안보 정책을 총괄하는 기구지만, 관심을 끄는 부분은 이들이 모두 한반도 문제에 정통하다는 점이다.

국무부 역시 이날 의회 인준을 받은 블링컨 장관을 정점으로 ‘한반도통’이 대거 포진해 있다.

성 김 전 주한미국 대사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행으로 활동하는 것도 관심 대상이다.

국방부는 로이드 오스틴 장관이 최근 의회 인준을 받아 업무에 착수한 가운데 오바마 행정부 때 ‘아시아 중시정책’ 시행에 관여한 캐슬린 힉스 부장관 지명자를 주목해야 한다는 평가다.

바이든 행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는 다른 한반도 접근법을 취할 것을 예고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2일 “북한의 억제에 중대한 관심을 여전히 두고 있다”며 ‘새로운 전략’ 채택을 언급했다.

한국이 북미 싱가포르 합의 등 트럼프 정부의 성과를 계승·발전하자는 입장을 보이지만, 바이든 정부는 아직은 검토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태도를 취하는 상황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외교·안보 라인의 공통 인식 중 하나는 정상의 결단에 기댄 트럼프 전 대통령의 ‘톱다운’에서 탈피해 실무협상부터 밟아가는 상향식 접근법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 정책 기조를 잡는 데 수개월이 걸릴 것이라는 예상이 있지만, 이보다 빨리 입장을 정리하고 모종의 시도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일례로 캠벨 조정관은 백악관 입성 전이었긴 하지만 지난달 싱크탱크 기조연설에서 미 행정부가 조기에 대북정책을 결정해 북한을 향해 메시지를 발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