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구 지정시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전력계통 불안정 문제 해소
신산업 발굴 따른 고용창출·전기료 절감 등 주민편익 증진 기대

성윤모 산자부 장관(왼쪽 세번째)과 원희룡 지사가 제주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제주의 카본프리아일랜드 정책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성윤모 산자부 장관(왼쪽 세번째)과 원희룡 지사가 제주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제주의 카본프리아일랜드 정책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분산에너지는 기존의 중앙집중형 에너지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개념의 에너지 공급 정책이다.
집중형 에너지 시스템은 자연재해 대비 취약성을 비롯해 대규모 설비 건설로 인한 갈등, 지역별 에너지 수요 차이 대응의 어려움, 재생에너지 보급확산에 따른 전력계통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가 제기되어 왔다.
이에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1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안)을 제시했다.
산업부가 발표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분산에너지의 송배전 편익·변동성 편익 등을 지원하는 제도와 수도권 신규 수요를 지역으로 분산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와함께 전력수급에 따른 조정이 불가능한 재생에너지를 조정 가능한 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등 분산에너지 친화적인 시장제도로의 개편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행사는 제주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제주도부터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을 선언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지역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는 지역은 분산에너지를 통합해 전력시장 등에 거래하는 통합발전소(VPP) 제도 등을 실증할 수 있으며, 전력거래 특례 등이 허용된다.
제주도가 분산에너지 특구에 지정될 경우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약 완화 등 전력계통 불안정 문제 해소와 신산업 발굴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 및 전기료 절감으로 인한 주민편익 증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에따라 지난 10년간 '카본프리아일랜드(Carbon Free Island, CFI) 2030'을 수립·실천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주도는 다른 지역들보다 앞서 CFI 2030 계획을 추진한 결과 1998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0’에서 2020년에는 태양광 설비 420MW, 풍력 설비 295MW을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증가로 출력제어와 기존 에너지 시스템 유지로 인한 에너지 과잉생산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시스템 도입이 시급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 대책으로 ▲지역주도의 에너지 시스템 실현 ▲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구축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 등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산자부는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 ‘제주 에너지 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제주에너지협의회’에는 산자부와 제주도를 비롯해 전력거래소, 한국전력공사, 에너지공단 등 참여해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후속조치 점검 및 추진하게 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