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과 6월 우리는 양성언 제주도교육감과 김태환 제주도지사를 우리의 지도자로 선택했다. 새로운 지도자의 등장에 누구나 많은 기대를 걸게 마련이다.

새로운 지도자의 ‘지향젼을 통해 패러다임의 변화는 물론 사회전반에서 능동적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사회의 속성이다. 새 지도자의 등장은 무엇보다도 공직사회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공직사회가 갖는 기대는 엄청나다.

취임해서 아직 한달이 채 되지 않은 도지사와 두 달을 넘긴 교육감을 놓고 “무엇을 변화시켰느냐” 하는 질문은 섣부르다.

그러나 “무엇을 변화시키려고 하는냐” 하는 물음은 던질 수 있다. 현직 지사가  선거법 위반으로 낙마했을 때 우리는 지금과는 다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도지사의 당선을 희망했고, 희망하고 있다.

전 교육감의 교육비리와 당선과 함께 선거비리로 물러난 교육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직과는 다른 무엇인가 변화를 줄 수 있는 그런 교육감을 기대하고 있다.

나날이 접하게 되는 도지사와 교육감의 행보에서 우리는 때 이른 실망의 시선들이 한 둘씩 비쳐지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갖는다.

제주도를, 제주교육을 변화시킬 의지가 있는가 하는데 대한 의구심들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고 있는 현상을, 시기상조라고만 하기엔 무엇인가 답답함이 자리하고 있다.

김 지사와 양 교육감이 강조하는 ‘도민통합’과 ‘교단화합’에서도 그런 징후를 느낀다. 통합이나 화합이라는 말이 결코 상투적 사용이 아니라면, 그 본뜻에 맞는 통합과 화합의 물꼬를 트는 일이 올바르게 이뤄져야 한다. 그것은 도민통합 또는 교단화합의 진정한 의미를 자각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통합이나 화합은 무조건적, 속물적인 통합이나 화합이 돼서는 안 된다. 진정한 통합 또는 화합은 그동안 이를 저해했던 ‘인자(因子)’들을 ‘추출’하고 이를 진단 한 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순서다. 무조건적인 통합이나 화합은 두 지도자가 기득권에 매달리고 있다는 반증일 수밖에 없다.

김 지사의 도민통합론은 며칠 안에 시행될 도청 인사에서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이 인사에서 김 지사가 강조했던 공정인사의 ‘전형’을 대하게 되면  도민통합의 방향도 확연히 보이게 될 것이다. 그것은 김 지사의 도민통합의 의지를 엿보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도인사가 그러나 도민통합 차원이라는 명분아래 지금까지 도정을 전횡하고 농단하던 사람들까지도 모두 포용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면 이건 대단한 인식의 오류이고, 단어의 오용이다. 비약하면 도민통합을 빙자한 ‘야합’일 뿐이다.

양 교육감 또한 교단화합을 위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며칠 전 인사를 단행했다. 그 인사가 역시 ‘너도 덮고 나도 덮자’는 식의 인사였다는 평가가 일고 있다. “교단의 화합을 위한 인사가  교단의 분열로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낳고 있지 않느냐”고 묻는다면 양 교육감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

변화 없는 도민통합은 속임수일 뿐이다. ‘허물도 덮고 나무람도 덮자’고 하는 것이 통합이 아니다. 진정한 통합은 ‘정(正)’과 ‘사(邪)’의 선을 분명하게 긋고 ‘북돋우고 용서한 후’ 여기서 출발하는 것이다. 두 지도자의 화합론에 대한 도민사회 일각의 냉소주의를 경계하면서 진정한 도민통합을 주문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