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역이 수산물 중개인에게 막대한 돈을 떼였다고 한다. 확실한 담보없이 거래를 했다가 낭패를 본 셈이다. 책임경영을 생명으로 하는 회사에서 어디 이런 일이 일어 날수 있는가. 장사를 하다보면 혹 그럴 수도 있다고 할지 모르나, 그게 어디 합당한 변명인가.

그 책임을 낱낱이 따져야 한다. 계약체결과정, 이사회 승인여부 등 한 점 의혹없이 파헤치고, 그에 다른 책임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런 경영방식으로는 도내 농축수산물 수출창구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없다.

이제 제주교역은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 그리하여 당초 설립취지를 살려 나가야 한다. 아무리 민영화가 되었다고 하지만, 제주교역의 공기업적 성격은 사라지지 않는다. 아직도 시·군 자치단체와 농·수협 등 생산자 단체가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태생적 한계에서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제주교역은 수익성과 공익성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 제주교역도 회사인 이상 흑자를 내야 한다. 그뿐만이 아니다. 도내 농축수산물 수출창구로서의 공공적 기능도 감당해 나서야 한다. 외부 정보의 신속한 입수와 그에 대한 자율적 평가 그리고 그 보급의 기능까지 확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책임경영을 해야 한다. 경영자가 모든 업무의 결과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지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자본금을 잠식하는 경영으로는, 납품 대금이 잘못됐는데도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는 체제로서는, 경영수지를 맞출 수 없다. 그리고 회사의 공공성도 구현할 수 없다.

연간 막대한 액수의 농축수산물을 수입하는 일본시장을 가까이 두고 있어 경영자의 노력여하에 따라서는 기대 이상의 수출 길을 확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재작년과 작년 2년 연속 왜 적자를 냈는지 하는 점도 따져봐야 한다. 그리하여 개선점을 찾아내야 한다.

품질 좋은 농축수산물을 생산하고, 그것을 해외로 내다 파는데 우리 1차산업의 살 길이 있다. 제주교역은 분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도 책임소재를 명확히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